정치

“아프리카 테러 위협 고조”…외교부, 말리·부르키나파소 등 한인 안전 대책 집중 논의

정하준 기자
입력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테러 위협이 고조된 가운데 외교부와 현지 주재 공관이 우리 국민 보호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최근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모잠비크 등지에서 알카에다 및 이슬람국가(IS) 연계 조직의 활동이 급증하면서, 한인 사회의 안전불안이 정책 의제로 부상했다.

 

외교부는 5일 정기홍 재외국민보호·영사 담당 정부대표 주재로 본부와 아프리카 지역 3개 공관이 참여하는 합동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최근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모잠비크 내에서 테러단체 활동이 확대되는 상황과 현지 위험도 평가, 국민 보호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말리에서는 알카에다 연계 테러단체인 ‘이슬람과무슬림지지그룹(JNIM)’이 관할 주요 도로를 장악, 교민 대부분이 거주하는 수도 바마코가 사실상 봉쇄됐다. 이로 인해 바마코 지역에서는 심각한 물자 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는 말리 전체에 대해 이미 여행금지 조치를 내린 상태다.

 

니제르의 경우, 지난달 21일 미국인 선교사가 납치된 사건 이후 테러와 납치 위험이 한층 커졌으며, 부르키나파소에서는 비정부기구(NGO) 소속 차량이 테러단체에 피습되거나 인질로 잡히는 사례가 최근 이어지고 있다. 모잠비크에서는 이슬람국가(IS) 연계 조직인 ISM이 올해 8월부터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지속해온 가운데, 민간인 참수 등 잔혹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관할 재외공관들은 상시로 우리 국민의 체류 현황을 확인하고, 비상연락망을 정비하는 한편 출국을 적극 권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각 공관 홈페이지와 커뮤니티를 통해 안전 공지를 신속히 전달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테러 고위험 지역 내 교민 보호 시스템 정비’의 시급성을 언급하며, 외교 당국이 신속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커지고 있다. 한편 아프리카 내 정세 불안이 심화되자 해외 진출 기업 및 NGO의 활동 재점검 필요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향후 현지 테러상황 추이에 따라 추가 대피 권고 등 국민 보호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방침이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외교부#말리#모잠비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