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단통법 폐지, 알뜰폰 위기 신호”…업계, 요금 경쟁력만으론 한계
IT/바이오

“단통법 폐지, 알뜰폰 위기 신호”…업계, 요금 경쟁력만으론 한계

권하영 기자
입력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 이후 통신시장의 경쟁 구도가 요동칠 조짐을 보인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현재까지 가입자 수 변화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사들의 보조금 경쟁이 재점화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업계는 소비자들의 휴대전화 구매 기준이 기존의 저렴한 요금에서 높은 지원금으로 이동할 경우, 저가 요금제를 앞세워온 알뜰폰의 입지가 흔들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알뜰폰 업계에 따르면 단통법 폐지 이후 일주일이 지난 현재, 알뜰폰 전체 가입자 수는 평소와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한 수준이다. 소비자들의 번호이동 역시 아직 뚜렷하게 변화하진 않았으나, 시장의 ‘숨 고르기’가 끝날 경우 대규모 이동 흐름이 촉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알뜰폰업체들은 제조사 보조금 없이 자체 마케팅 재원에 한계가 있어, 대형 이통사의 공격적 지원금 정책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기존에는 자급제 단말기에 알뜰폰 요금제를 결합하는 ‘자급제+알뜰폰’ 조합이 경제적이란 인식이 강했다. 단통법 하에서는 제조사와 통신사를 막론하고 동일 지원금이 지급돼 소비자 혜택이 균일했으나, 지원금 상한이 폐지된 지금은 통신사 직판 기기가 더 저렴해질 수 있어 구매 전략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무선 전파 사용료 면제 혜택이 단계적으로 폐지돼, 주요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의 비용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육성 정책 덕분에 점유율이 17.7%까지 성장해왔지만, 단통법 폐지로 시장의 초점이 재차 대기업 이동통신사로 회귀하는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지난 5월 알뜰폰 가입자는 999만명을 넘어섰고, 해킹 이슈 등으로 이동통신사 시장 점유율까지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업계는 정부의 알뜰폰·자급제 활성화 의지와 데이터 안심요금제 등 QoS 신설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다.

 

단통법 폐지로 촉발된 시장의 변화는 아직 표면적으로 크지 않으나, 보조금 정책 변화와 유통 구조 개편에 따라 언제든 급격한 가입자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전문가들은 알뜰폰 시장의 지속적 안착을 위한 정부 규제 조정과 지원정책 유지가 중요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 변화가 통신 시장 판도에 중대한 변곡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알뜰폰#단통법#지원금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