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숨진 병원, 책임 촉구 목소리 확산”…양재웅 엄벌 서명 1만 돌파
경기 부천의 더블유진병원에서 환자가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병원장 양재웅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서명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한정연)는 “부천 더블유진병원 사망사건의 진상조사와 양재웅 병원장 및 관련자 형사처벌을 요구하는 서명에 1만753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4일부터 시작된 이번 서명에는 정신장애인, 의료기관 종사자, 학생, 일반 시민 등 각계각층이 참여해 15일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한정연은 서명 종료 즉시 탄원서와 함께 관련 자료를 검찰과 재판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홍승현 한정연 정책위원회 간사는 “치료와 회복의 공간이어야 할 병원이 생명을 앗아간 비극에 분노와 불안이 크다”며 “인권 침해와 억울한 죽음이 반복되지 않도록 강력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사건은 지난해 5월 27일, 다이어트약 중독으로 입원한 30대 여성 환자 B씨가 입원 17일 만에 사망하면서 불거졌다. 유족 측은 입원 기간 중 부당한 격리 및 강박 조치, 적절하지 못한 의료 대응 등이 사망에 영향을 미쳤다며 양 원장 등 병원 관계자들을 고소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3월 병원장 양재웅과 의료진 등 5명을 진료기록부 허위 작성 지시 또는 방조 혐의로 수사 의뢰했다. 인권위는 B씨에 대한 격리·강박 지시 주체와 실제 기록이 다르며, 간호사가 격리 조치를 하고도 당직 의사 지시로 허위 기재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건을 두고 의료기관 내 인권 보호와 격리·강박 등 관행의 법적·제도적 문제가 재조명되고 있다. 정신장애인단체들은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조적 개혁도 촉구하고 있다.
경찰과 검찰은 관련자에 대한 수사 절차를 진행 중이다. 엄벌 탄원 서명과 시민사회의 문제 제기가 이어지며, 의료 현장에서의 인권 보호 기준 마련에 대한 논의 역시 확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