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대규모 개편 논란”…카카오, 롤백 불가 방침에 이용자 반발
카카오톡의 대규모 인터페이스 개편이 산업계와 국정감사장까지 번지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카카오가 강제 업데이트를 통해 적용한 새로운 ‘친구’ 탭은 기존 전화번호부 중심 구조에서 인스타그램 기반의 피드형 소셜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전환됐다. 이용자들은 갑작스러운 변화와 숏폼 영상 등 피드 자동 재생 기능, 사전 고지 부재에 거센 반발을 표출하고 있다.
카카오 경영진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술적으로 이전 버전 복구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2.0에서 1.0으로 완전히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2.0에서 2.1 등 보완된 업데이트만 가능하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최근 개편은 ‘카카오톡 2.0’이라 불리는 대형 구조 변경이며, 원상 복구 요구에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기술 변화의 주요 특징은 친구의 프로필 사진과 게시글이 타임라인 형태로 노출되는 ‘SNS화’다. 사용자는 친구들의 최신 동정이나 콘텐츠를 앱 내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숏폼 영상은 오픈채팅방 입장 시 강제 시청되는 구조로 바뀌었는데, 이는 사용자 경험 변화는 물론 청소년 보호 이슈를 불러일으켰다. 기존 전화번호 기반 명부 구조는 정보 전달 중심이었으나, SNS 피드화는 추천 콘텐츠 노출·행동 데이터 수집 등 플랫폼 사업자 전략과 맞닿아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업데이트 이후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차단법’과 이전 버전 복구 방법이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는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정보통신 플랫폼의 핵심 기능 변화가 실생활 소통 방식 자체를 흔드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카카오톡은 국민 메신저로 불릴 정도로 높은 점유율을 가진 만큼 이용자 의견 수렴과 단계적 도입이 필수적이었다”고 지적한다.
이날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숏폼 강제 송출이 미성년자 자녀와 학부모 모두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며 “사전 고지·동의 없는 불투명한 방식은 디지털 공해, 테러 수준”이라 비판했다. 카카오는 “만 14세 미만 이용자의 맞춤형 광고를 금지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침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성인 이용자 데이터는 비식별화 형태로 수집해 향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 보호와 데이터 활용 간 균형이 또 한 번 화두로 떠올랐다.
동종 글로벌 플랫폼들도 SNS 기반 메신저 업그레이드, 행동 데이터 마케팅 확대를 추진 중이지만, 사용자 경험 저하, 개인정보 보호, 사전 고지의 중요성에서 논란이 발생해 왔다. 미국·유럽에서는 플랫폼 대변혁 시 공청회, 연령별 보호모드 적용 등 다양한 윤리·규제 장치가 논의된다.
전문가들은 “카카오톡 등 국가대표 플랫폼이라면 기능혁신과 이용자 권익 균형점을 찾는 내부 가이드라인과 외부 소통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한다. 산업계는 이번 개편이 추가 이용자 이탈 혹은 소통 플랫폼 생태계 재편을 불러올지도 주시하고 있다. 기술 혁신이 곧바로 시장 수용성으로 이어질지, 디지털 문화와 제도적 논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