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복구 55.6%”…정부, 중단 서비스 목록 전면 공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이후 핵심 정보시스템 복구가 절반을 넘어섰다. 30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9월 26일 화재로 중단된 공공 IT 서비스 중 1등급 36개 가운데 20개가 복구돼 55.6%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전체 복구 시스템은 83개에 달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아직 국민 여러분께 크고 작은 불편이 남아 있음을 절실하게 느낀다”며 “민원 현장접수, 납부기한 연기 등 모든 수단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화재 영향으로 중단된 647개 시스템의 전체 목록을 이날 중 국민에 공개한다. 복구 상황 역시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복구 우선 대상에는 인터넷 우체국과 우편물류, 복지로, 사회보장정보 포털 등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포함됐다. 행정안전부 모바일신분증, 정부디렉터리, 문서유통, 복합인증 및 암호시스템 등도 재가동됐으며, 금융위원회·복지부·관세청·통계청의 핵심 데이터 시스템, 우체국금융, 환경부 온실가스정보센터 등이 복구돼 이용이 가능하다.
윤 장관은 “최근 화재를 악용한 스미싱, 피싱 범죄 위험이 커지므로 국민 여러분께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린다”며 “오늘 오후엔 우체국 금융과 택배 서비스의 정상 운영 여부도 직접 점검하겠다”고 덧붙였다.
중대본 발표에 따르면, 복구 완료 시스템은 행정안전부, 국무조정실, 환경부, 관세청, 통계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조달청, 감사원 등 여러 부처에 걸쳐 있다. 복지부의 노인돌봄시스템, 해수부, 소방청 등 각급 기관의 일부 서비스도 복구돼 점진적으로 이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불안정 장기화에 따라 온라인 민원과 금융 업무가 일시 중단되는 등 현장 불편과 혼선이 노출됐다. 정보통신 전문가들은 “국가 IT 자원 분산 관리 체계, 재난 대응 매뉴얼 개선”을 과제로 제기하고 있다.
정부는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불편 최소화에 총력을 다하고, 각 시스템 복구 현황을 국민이 쉽게 확인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복구 진행 상황은 행정안전부 공식 블로그에서 공개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정보통신 인프라의 재난 대응 및 시스템 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책임 소재와 예방 대책, 화재 원인 조사 등 후속 절차도 시급한 과제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