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스마트카 기반 교통약자 지원”…광주 GGM 캐스퍼, 미래차 도시 전환→기술 실증
자동차

“스마트카 기반 교통약자 지원”…광주 GGM 캐스퍼, 미래차 도시 전환→기술 실증

장예원 기자
입력

광주시가 전기차 분야와 교통약자 지원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정부 공모사업 선정을 공식화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도 자동차산업 기술개발 사업(스마트카)’에 광주가 선정됨에 따라, 지역 제조기업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서 생산 중인 소형 전기차 ‘캐스퍼 일렉트릭’이 미래차 기술의 실증 무대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교통안전 및 편의 기술이 도입돼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주행안전성과 운전 편의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2024년 하반기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진행되며, 투입 예산은 총 101억9천만원으로 알려졌다. 국비 70억원과 민간 투자 31억9천만원이 결합된다. 광주시는 캐스퍼 일렉트릭에 AI 기술을 탑재, 운전자 인지 한계 보완과 상황 대응 강화에 힘쓸 계획을 내세웠다. 이는 단순한 차량 품질 고도화를 넘어, 미래차 소부장특화단지의 인지·제어·통신 등 핵심 부품 실증 및 인증평가사업과 연계해 도시 전체의 미래차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스마트카 기반 교통약자 지원…광주 GGM 캐스퍼, 미래차 도시 전환→기술 실증
스마트카 기반 교통약자 지원…광주 GGM 캐스퍼, 미래차 도시 전환→기술 실증

진곡일반산단, 빛그린국가산단, 미래차국가산단 등 광주시 핵심 산업단지들이 미래차 소부장특화단지로 지정돼 있어 자율주행차 연구와 인력 양성 등 지역 R&D 역량은 크게 제고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캐스퍼 일렉트릭의 상용화와 연계된 기술 실증이 광주의 제조 산업 고도화 및 지역 일자리 창출, 미래차 선도도시 위상 확립에 중요한 촉매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태조 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지방재정 한계에도 시비 부담 없이 국비와 민간 투자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 점이 의미 있다"며, "미래차 산업 전환의 핵심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국비 사업 유치 등 선도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시#ggm#캐스퍼일렉트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