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교수 갑질 피해로 대학원생 사망”…전남대, 진상 조사·연말 징계 방침 질타

한유빈 기자
입력

대학교에서의 교수 갑질과 구조적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격화됐다. 전남대학교 대학원생이 교수의 부당 지시와 갑질을 호소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을 두고, 국회 교육위원회와 학교 당국 간 책임 추궁과 재발 방지 논의가 22일 전북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집중적으로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해당 대학원생의 휴대전화 문자에는 인건비 회수, 학생 계좌 관리, 부당한 업무지시 등 현실감조차 없는 지시가 다수 남아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수는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일도 대학원생에게 떠넘겼으며, 배우자 명의의 페이퍼컴퍼니 실무까지 맡겼다"며, 강력한 조사와 징계, 그리고 근본적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김준혁 의원 역시, 숨진 대학원생의 메모를 근거로 "4개에 달하는 연구과제 행정 처리와 교수 골프 대회 준비, 칠순 잔치 현수막 제작 등 사적 업무까지 떠맡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대학원생을 값싼 노동력이나 교수 개인 비서로 간주하는 문화를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전남대학교 이근배 총장은 답변에서 "갑질뿐 아니라 성 비위, 음주운전 등에 대한 징계 수위가 매우 높다"며 "이달 말까지 진상조사를 끝내고 연말까지 징계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사안을 학교가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으며, 최대한 신속하게 처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참사에 연루된 교수 2명은 현재 모든 업무에서 배제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이 중 1명은 입건됐고, 또 다른 1명은 혐의점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다. 학교 당국은 곧 제출될 진상조사위원회 보고서를 바탕으로 인권센터와 감사센터의 연계 감사를 검토하면서, 징계 여부와 수위 역시 결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교육계 내 ‘권위주의 갑질’과 연구실 내 인권 침해 구조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지적받으며, 전국 대학생과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제도 개선 요구가 커지는 양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와 대학 당국은 대학원생 권익 보호와 재발 방지 제도 개선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남대#진선미#이근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