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유사체·생활습관 병행”…비만 치료제 시장 급성장→의학적 안전성 재조명
여름철이 도래하며 극단적 단기 체중 감량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수 전문가들은 비만 치료제 시장의 빠른 성장과 약물 치료의 혁신에도 불구하고, 부작용과 요요 현상 등 의학적 안전성에 대한 경계심을 함께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유사체와 같은 신약이 약물 치료 패러다임에 변화를 불러왔으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실제 의료계에 따르면, 2주 이내 10킬로그램 감량 등의 급격한 단기 다이어트 시도는 체지방 감소가 아닌 일시적 수분 및 근육 손실, 곧이어 요요 현상 등 건강 악화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고 경계했다. 하루 섭취 칼로리를 1,000kcal 이하로 제한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약물 복용 등은 단백질 및 미량 영양소 결핍으로 탈모, 생리불순, 심지어 면역력 저하까지 야기할 수 있다. 식욕억제제·기초대사촉진제 등 약물을 체계적 감독 없이 활용할 경우, 부정맥과 불면, 심혈관계 질환 등 중대 부작용 위험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반면, 최근 위고비 등 GLP-1 계열 신약과 복합 경구약(큐시미아, 콘트라브 등)은 미국·유럽에서 장기 임상자료를 통해 일정 기준 고도비만 및 대사질환 동반 환자에서 평균 체중의 15% 정도를 감소시킨다는 근거를 제공하며,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엄윤희 강동성심병원 비만대사센터 교수는 “GLP-1 계열 약물은 복부 비만, 고혈압, 당뇨 등 고위험군에 있어 대사수치 개선까지 기대할 수 있으나, 필수 영양소 섭취 불균형이나 기초대사량 저하 막기 위해 반드시 영양 관리와 근력 운동 등 생활습관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다이어트의 성공 요인으로 장기적 안목의 생활습관 변화, 약물치료와 영양·운동요법 간의 균형 있는 병행의 중요성을 환기한다. 아울러 위고비 등 신약 도입에도 불구하고 섭식 제한·운동 부족 등 일상 관리 소홀 시 영구적 건강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최근 비만 치료 시장의 팽창과 함께 안전성과 근본적 생활습관 개선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진단이 설득력 있게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