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00만 달러 채권 직접 매입”…트럼프(Trump), 대규모 투자 확대에 정치권 파장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정부윤리청(OGE)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Trump) 대통령이 지난 8월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인텔 등 대형 기업의 채권을 중심으로 최소 1,200억 원(8,200만 달러) 상당의 채권을 신규 매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번 대규모 투자는 정부 정책 변화와 금융시장 규제에 따라 관련 업계의 이해관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투자 내역에 따르면 매입한 채권은 주정부 등 공공 부문을 포함해 인텔, 퀄컴, 브로드컴, 메타 플랫폼 등 반도체·IT기업, 넷플릭스·컴캐스트 등 미디어, 보잉(항공), 유나이티드헬스그룹(건강보험),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주요 금융사 채권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했다. 특히 인텔 채권의 경우 인텔이 미국 정부에 10% 지분을 넘겼다는 사실이 발표된 지 약 일주일 뒤인 8월 29일, 100만~500만 달러 규모로 집중 매입된 점이 주목된다.

미국(USA) 정부는 고위공직자의 투자내역을액수 구간별로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8월 말~10월 초 채권 매입액은 최소 8,200만 달러, 최대 3억 3,700만 달러(약 4,900억 원)로 추정된다.
이번 투자와 관련해 주요 외신들은 대통령의 자산 운용과 정책 방향 간 이해충돌 가능성을 지적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한 다수 기업이 최근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으로 막대한 혜택을 본 산업’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정부가 금융·산업 규제 완화, 세제 우대 등 친기업 정책을 추진하는 와중에 대통령 본인의 투자까지 더해지면서, 정책 결정의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채권 매입 논란에 대해 백악관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나, 기존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 개인은 자산 운용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며, 금융기관에서 독립적으로 관리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USA)은 고위공직자의 투자 사실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8월 기초, 취임 직후부터 최소 1억400만 달러(1,500억 원) 상당의 채권을 보유해 왔다고 밝힌 전력이 있다. 하지만 175건을 넘는 대량 매입과 정책과의 연관성이 부각되며,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감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채권 매입은 백악관과 월가의 경계가 더 모호해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투자와 정부 정책의 이해관계 문제가 미국(USA) 내 정치적 논쟁과 금융시장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대통령 자산의 투명성 검증과 제도 개선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