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유예 종료 초읽기”…여한구, 방미해 연장 협상 총력
미국의 관세 유예 조치 종료 시점이 임박하면서 정부가 유예 연장과 부정적 영향 최소화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5일부터 워싱턴DC를 방문해 미 무역대표부와 상무부 등 통상 라인과 고위급 협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여한구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등 주요 인사들과의 면담을 추진 중이다. 이르면 7월 8일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종료되는 만큼, 한국이 주요국들과 동일하게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막판 유예 연장과 협상의 지속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할 전망이다.

여한구 본부장은 "미측 관세 유예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유예 연장 여부를 포함, 향후 미측 관세 조치가 매우 가변적이고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7월 9일 이후 유예가 종료되면 일부 국가에는 추가적 관세 부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부정적 영향 최소화와 적극대응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이날 오전 여한구 본부장은 서울 중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제48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긴급 개최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미 관세 유예 종료에 대응한 구체 전략을 최종 점검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30일 공청회와 4일 예정된 국회 보고를 거쳐 압축적으로 마련됐으며, 한미 관세협상 추진 계획을 놓고 입장을 조율했다.
정치권과 경제계 일각에서는 대선 직후 정부 출범 한 달 만에 중요 통상 현안이 겹친 점을 고려할 때, 보다 충분한 협상 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또한 글로벌 주요국들이 각각 미국과 경쟁적으로 막판 협상에 뛰어들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 역시 불리 대우를 받지 않기 위해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이다.
여한구 본부장은 "주요국의 협상 동향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우리 대우가 불리하지 않도록 전 부처가 총의를 모아주길 바란다"면서 "관계 부처는 비상한 각오와 적극적 태도로 협상에 임하고, 모든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부는 통상추진위원회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국회에 협상 계획을 보고하고, 관세 유예 시한 종료 전까지 미측과 집중 협상을 이어갈 방침이다. 정치권은 미 관세 유예 종료 문제를 두고 경제적 파장과 외교적 해법을 두고도 논의가 거세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