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익 행보 접고 한일관계 관리”…다카이치, 현실주의 외교로 선회
한일 정상 외교에서 강경 우익 노선과 현실주의 외교라는 두 축이 충돌했다.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첫 공식 한일 정상회담에서 갈등보다는 실용을 택하며 양국 관계의 새로운 국면 진입 신호를 보냈다. 일본·한국 주요 언론은 잇단 보도에서 한일관계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며, 보수층 기반의 다카이치 총리가 안보·정책 현실 속에서 실리와 진전에 무게를 싣는 방향으로 외교 노선을 선회했다고 평가했다.
아사히신문은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 가진 첫 양자 정상회담을 분석했다. 신문은 "이웃 나라이기 때문에 입장이 다른 여러 현안이 있지만, 이를 리더십으로 관리할 것"이라는 다카이치 총리 발언을 인용하며, 역사·안보 갈등이 남아 있지만 대화로 풀어가려는 관리형 접근법에 주목했다.

그러나 다카이치 총리는 자민당 내 대표적 우익 강성 인사로, 집권 이후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 참배 및 식민지 지배·침략 반성 담화 비판 등 극우적 행보를 이어왔다. 이에 대해 아사히는 총재 선출 이후 야스쿠니 신사 추계 예대제 참배를 보류하는 등 노선이 바뀌었다고 해석했다. 배경으로는 "한미일 안보협력 필요성"과 빠르게 변하는 동아시아 국제 질서가 제시됐다.
닛케이신문 역시 이번 정상회담을 "대립 피하고 현실 노선의 외교"라는 키워드로 평가했다. 마이니치신문과 요미우리신문도 다카이치 총리가 "한미일 3개국 협력이 중요하다"며 실용 외교를 견지했고, 이재명 대통령 역시 "한일 관계 안정"에 방점을 두었다고 보도했다. 특히 요미우리는 다카이치 총리가 '여자 아베'라는 강경 이미지에서 벗어나려 한 점, 그리고 한국의 경계심 완화에 주력한 점에 주목했다.
외무성 당국자 발언, 언론 분석 종합하면, 앞으로 한일 관계는 중국의 동중국해 패권 강화, 북·중·러의 밀착,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라는 국제 환경 변화 속에서 안보 공조와 현안 관리라는 현실적 해법이 힘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다카이치 총리가 이번 회담에서 북한 완전 비핵화와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공조, 안보 환경의 엄중함을 강조했다는 점도 이를 방증한다.
정치권은 한일 정상의 관리형 접근을 놓고 기대와 관망이 교차하는 분위기다. 일본 내에서는 다카이치 총리의 노선 선회가 보수 지지층의 반발이나 입지 흔들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안보 환경 변화와 실리 추구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견해도 힘을 얻고 있다.
이날 양국 정상은 정상외교 복원과 소통 확대에 방점을 찍었다. 정가와 전문가들은 동북아 정세 불확실성 속에서 한일 관계가 '안전운전' 국면을 맞은 것으로 평가하며, 향후 양국 정부가 역사·안보 등 민감한 현안에 어떻게 실용 합의를 도출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