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향장기수 송환, 北의사 확인 필요”…통일부, 안학섭 북송 요청에 신중 기조
비전향장기수 송환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 불거졌다. 통일부와 안학섭 씨 측이 교차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송환 절차와 남북 협의 문제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 씨가 제3국 경유 북송 지원을 공식 요청한 가운데, 통일부는 인도적 차원의 송환 추진이 정부의 기본 방침이라고 밝혔으나 북한의 의사 확인이 선행돼야 한다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난 통일부 당국자는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인도적, 인간적 차원에서 비전향 장기수의 송환을 추진해나간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협의 문제 등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여, 남북 협의 절차가 관건임을 시사했다.

이날 안학섭 씨와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은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러시아 또는 중국을 경유해 조선(북한)으로 가겠다”고 천명했다. 이들은 정부에 중국·러시아 입국 비자 발급, 북한과의 협의창구 개설 등 절차적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가 안 씨의 요청대로 제3국 경유 북송 절차를 직접 지원할지 묻는 질문에 통일부 당국자는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는 짧은 답을 내놨다. 그러나 그는 “기본적으로 남북 간에 의사 확인이 필요하다”며 북한의 동의 없이는 실제 송환 추진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남북대화 채널이 열려서 그러한 뜻을 전하고, 답을 듣는 것이 최소한의 절차”라며 북한의 호응이 필수적임을 재확인했다.
비전향장기수 송환 문제는 인도주의, 인권 논란과 더불어 남북관계 개선 및 경색 문제와도 맞물려 있다. 향후 정부는 남북 채널을 통한 협의 가능성과 제3국 경유 절차법 검토 등 다각도의 실무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