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클라우드 복구 불가”…정부, 백업 미비 사태에 보안 경고장
공무원 전용 내부 클라우드 시스템(G드라이브)의 백업 미비로 인해 영구적인 데이터 손실이 현실이 되고 있다. 정부는 시스템 관리 기관인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1일 세종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브리핑을 열고, G드라이브는 백업이 없어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최근 발생한 7-1 전산실 관련 화재로 총 96개 시스템 중 G드라이브를 제외한 95개는 온·오프라인에 소산(분산)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구를 시도하고 있으나, 공무원이 업무 자료를 저장하던 G드라이브만은 영구손실이 확정된 상태다.
G드라이브는 전 부처 공무원이 활용하는 내부 업무용 클라우드로, 각종 결재·보고 자료 및 실무 서류가 저장된다. 인사혁신처 등 일부 부처가 특히 의존도가 높으며, 대다수 부처는 PC 등 다른 저장 수단과 병행해 사용한다. 이에 따라 인사혁신처를 제외한 나머지 부처의 핵심 정부 문서는 여전히 온나라시스템 등 공식 플랫폼에 남아 있어 실질적인 피해는 파편적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번 사태는 공공 클라우드 체계 내 백업 정책의 미비점과 내부 시스템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키우고 있다. G드라이브를 복구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 확인되며, 데이터 관리 체계의 취약함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반면 95개 시스템의 경우 온라인·오프라인 소산(백업) 덕분에 데이터 보호가 가능했는데, 해당 수단은 데이터의 복수 저장(이중화)에 기반해 장애 시 복구력을 높이는 기본 절차다.
정부는 전체 546개 전산시스템 가운데 현재 101개 복구를 완료했고, 확보된 대체수단 시스템은 267개로 49%에 해당한다. 나머지 시스템의 대체수단 확보도 기관별로 진행 중이나,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복구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데이터 복구에 시간이 소요되는 이유로는 민간 클라우드 전환 시 환경 차이와 기존 정보 인프라와의 호환 문제도 지적됐다.
이번 사태는 공공부문의 디지털 대전환 노력이 실제 데이터 보존 및 인프라 신뢰성 측면에서 완전한 준비가 미흡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공공클라우드 시장에서 미국·영국 등은 원칙적으로 3중 이상의 백업체계를 도입해 주요 시스템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민관협업(PPP) 클라우드 존 도입 및 대구센터로의 이전 등 물리적 이중화 조치가 병행되고 있지만, G드라이브와 같이 백업이 없는 예외 시스템은 여전히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공공 IT 인프라 관리 정책의 대전환 계기”로 해석하며, 업무 클라우드 및 내부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재점검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 업계 전문가는 “핵심 데이터의 다중 백업과 상시 복구 체계 구축 없이는 디지털 행정의 위험 회피가 어렵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이번 손실이 공공IT 전반의 백업 체계 강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