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피해 확산에도 제주 워크숍 강행”…김현, KISA 위기대응 부실 정면 비판
KT와 롯데카드 해킹 피해가 확산되는 와중, 사이버 침해 사고 관리를 총괄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임직원들이 제주도에서 단체 워크숍을 강행한 사실이 드러나며 정치권 공방이 가열됐다. 워크숍 시기가 두 해킹 사건 피해 공개와 맞물리며 위기 상황 대응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은 16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해, 임직원 62명이 지난달 18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제주도에서 '노사 화합 워크숍'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는 전체 정규직 500명 중 12%가 참여했으며 예산으로 1천14만원이 집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의 워크숍이 진행된 9월 18일은 롯데카드가 297만 명 규모의 회원 정보 유출을 공식 사과한 날이자, KT가 서버 해킹 의심 정황을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한 시점이다. 김 의원은 “워크숍 일정이 해킹 피해가 본격적으로 공개된 날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같은 달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와 관련해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었고, 19일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전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후인 24일 국회 과방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KT를 대상으로 해킹 사태 청문회를 열었다.
김현 의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외부적으로 전사적 대응을 약속한 직후 제주도 워크숍을 강행했다”며 “원장이 국민 불안 해소보다 안일한 인식으로 일관했다”고 맹비난했다. 이어 “이번 사안을 단순한 내부 행사 문제가 아닌 위기대응 체계 전반의 관리 부실로 봐야 하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내부 소통과 노사관계 증진을 위해 워크숍을 추진했다는 입장이지만, 해킹 피해가 연속적으로 드러난 시점과 겹친 점 때문에 비판 여론이 이어지고 있다. 야당은 “공공기관의 위기 대응 역량이 심각한 시험대에 올랐다”며 책임 있는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한편, 국회 과방위는 향후 정보보안 분야 관리 체계와 대응 능력 전반을 점검하는 추가 청문회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