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복궁 어좌 앉은 김건희 논란”…역대 대통령도 예외 없던 공간, ‘특권 논쟁’ 확산

조수빈 기자
입력

국가유산의 상징 경복궁 근정전 내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임금의 자리인 어좌에 앉았던 사실이 드러나며 정치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국가유산청의 공식 확인에 따라, 대통령 부인에 의한 권위 공간의 사용이 정파 간 갈등의 불씨로 다시 부상했다.

 

국가유산청이 10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는 2023년 9월 12일 경복궁 근정전을 방문했으며, 당시 “용상(어좌)에 앉은 사실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 국빈 맞이 행사와 관련해 경복궁 일대를 둘러보는 일정이었으나, 근정전 내부 관람은 공식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

궁능유적본부 산하 경복궁관리소의 ‘상황실 관리 일지’에는 김 여사가 VIP로 기재돼 있으며, 오후 1시 35분부터 3시 26분까지 약 2시간 머물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최응천 전 문화재청장(국가유산청장), 황성운 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 등도 동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유산청은 “대통령실 요청에 의해 경복궁 방문이 준비됐고, 관계기관이 협조했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당시 배석자 확인 결과 김건희 여사가 용상에 앉은 것은 사실이며, 해당 어좌는 재현품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으나, 재현 시기 등 상세 내역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근정전 어좌는 왕이 사신을 맞거나 조회 때 사용하는 국보급 의전 공간으로, 일반인의 출입과 착석은 엄격히 금지돼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이날 국정감사에서도 이 사안이 도마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의원은 “근정전 어좌를 왜 앉았냐, 누가 허가했냐”며 날선 질의를 이어갔고, 김교흥 위원장은 “그렇게 중요한 상황을 왜 기억하지 못하냐”고 지적했다. 당시 대통령비서실 소속 선임행정관으로 김 여사를 수행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에게 집중 질타가 쏟아졌다. 정 사장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이 현장 설명을 했다”고 답했으나, 세부 경위에 대해 “업무 focused로 기억이 뚜렷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장(현재 국가유산청장)을 역임한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민주당 조계원 의원의 질의에 “모든 국민이 생각하듯 잘못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 문화재 보존 원칙 위반을 지적했다. 국가유산청 자료에서도 “역대 대통령 중 근정전 내 어좌에 앉은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최근 김건희 여사가 종묘 신실 내부 접근 등 역사 공간 활용 논란의 중심에 선 가운데, 이번 근정전 착석 사실까지 이어지며 대통령 부인의 국가유산 접근 방식에 대한 논쟁이 재점화됐다. 정치권에서는 “사적 유용”이라는 비판과 “공식 행사 준비 과정”이란 해명이 맞서고 있다.

 

정치권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이 사안을 두고 치열하게 충돌했다. 국가유산청은 국내외 주요 의전 행사와 문화재 관리 기준을 재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혔으며, 국회 역시 대통령실 등 관련 기관에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등 후속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경복궁#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