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대회 안전관리 미흡”…박정하, 대통령배 사고 실태 지적
체육대회 안전사고 관리 미흡을 둘러싸고 국민의힘 박정하 의원과 대한체육회가 충돌했다. 최근 5년간 1천600건이 넘는 체육대회 사고 발생이 공식적으로 드러나면서, 체육 현장의 안전 체계 부실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박 의원은 27일 대한체육회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정부 명칭 대회마저 법정 안전 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정하 의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대한체육회 산하 종목 단체의 체육대회에서 총 1천668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부상이 1천31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응급 이송 306건, 수술 18건, 사망사고도 3건이 포함됐다. 박 의원은 “대통령배, 국무총리배, 장관배 등 명칭이 사용된 정부 주요 대회에서도 사고가 35건 발생했고, 복싱·씨름·철인 3종·태권도 등 부상 위험이 큰 5개 대회에서는 기본적인 안전관리계획조차 마련하지 않았다”며 관리 소홀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또한 박 의원은 국민체육진흥법상 1천명 이상이 참가하는 체육행사는 안전관리계획 수립과 점검표 작성이 의무임에도, 정부 명칭을 사용하는 21개 대회에서조차 안전 점검표 작성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대한체육회는 지난 2023년 7월 전체 83개 종목단체에 종목별 안전매뉴얼 제출을 요구했으나, 여전히 21개 단체는 관련 매뉴얼조차 내지 않았다”고 실태를 공개했다.
정치권 반응도 엇갈렸다. 박정하 의원은 “정부 명칭 대회조차 안전관리가 부실하고, 사고가 나더라도 성과평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며 “대한체육회가 각 종목단체 안전관리 체계를 면밀하게 점검하고, 성과 평가에서 안전관리 지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체육계 일부에서는 인력과 예산 부족 등 현실적 한계를 호소하고 있지만, 안전 불감증이 반복되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부의 체육행사 관리 감독 강화와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체육대회 안전사고 논란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향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차원의 후속 점검 및 정부 대책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