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협력 본격화”…오픈AI, 한국 전략위와 미래 논의
오픈AI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한국의 AI 산업 발전을 위한 본격 협력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24일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은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와 직접 면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대한민국 인공지능 액션플랜 수립·추진 현황, 오픈AI의 한국 AI 경제 청사진 보고서 등 양 기관의 최신 정책과 전략이 공유됐다. 업계는 글로벌 AI 선도 기업과의 논의가 ‘AI 정책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오픈AI의 크리스 리헤인 책임자는 “위원회가 마련하는 대한민국 AI 액션플랜에 오픈AI의 보고서 내용이 반영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전 세계 누구나 AI 어시스턴트(인공지능 기반 조수)를 활용하는 미래를 상상하며, 이를 실현하는 데 있어 한국이 보유한 반도체·디바이스·네트워크 기술력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같은 기술 협력이 오픈AI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문영 부위원장 역시 “한국이 AI 3강 국가로 도약하려면 집단지성은 물론 아마존, 블랙록, 오픈AI 등 글로벌 혁신기업과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AI 액션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한경협 등 국내 산업계는 물론 글로벌 기업, 시민단체, 학계까지 각계각층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만남은 단순한 정책 협의 수준을 넘어, 기술 우위와 산업 전략을 중심으로 양측이 실효성 있는 파트너십 틀을 구축하는 계기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유럽·미국 등 주요국이 AI를 국가 산업 성장 동력으로 삼으려는 가운데, 한국이 반도체와 네트워크 강점을 기반으로 오픈AI 등 선도 기업과의 협업을 늘리는 것은 글로벌 AI 산업 지형 변화의 주요 변수로 부각된다.
산업계는 이번 협의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AI 기술력·규제·윤리 등 다층적 협력으로 확장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AI 정책과 글로벌 기술기업 간 소통이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보인다. 기술과 정책, 산업과 생태계가 균형을 이루는 전략이 AI 시대 한국의 도약 조건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