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재난 예측 앞당긴다”…정부, 자연재난 대응체계 혁신 예고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기술이 자연재난 대응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최근 빈도가 높아진 폭우·폭염 등 극한 기상현상에 정부와 산업계, 연구계가 AI를 활용한 재난 대응 방안 논의에 착수했다. 정부는 재난 발생 전 AI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실제 재난 발생 시 피해 확산을 신속하게 줄이는 데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첨단기술 기반 재난관리 경쟁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지난 19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서울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찾아 지능형 CCTV 등 도시 재난 대응 IT 인프라를 점검한 데 이어, 행정안전부·환경부 등 관계부처 및 산업계·연구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AI·디지털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정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피해가 복합화·대형화됨에 따라 AI와 디지털 기술을 재난 예방과 현장 대응에 폭넓게 적용하는 공동전략 추진을 공식화했다.

AI 기술은 위치·기상 등 복합 재난 데이터를 통합 연산해 기존 수작업 방식에 비해 위험 예측의 정확성과 속도를 크게 높이도록 설계된다. 실제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과기정통부-환경부와 공동으로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도시 침수 예측 시스템, 댐 방류 유역의 침수 시뮬레이션, AI 내비게이션을 통한 수해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 등 구체적인 사례를 공개했다. 쿠도커뮤니케이션은 부천시와 협력해 AI 기반 지능형 CCTV로 산사태·침수 등 재난 상황을 빠르게 탐지하는 현장 실증 성과와, 이 과정에서 다양한 원본 데이터를 AI에 학습시키는 데이터 품질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아날로그 예보 및 매뉴얼 중심의 재난대응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용량 데이터에 기반한 정량적 분석으로 신속·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또한 AI 시스템을 현장에 상시 배치해 학습-적용-성능 향상을 반복함으로써,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가 AI가 탑재된 재난 관제 플랫폼을 도입해 데이터 기반의 재난 예측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유럽 역시 공공 데이터와 AI 모델 연계를 위한 표준화 논의를 진행 중이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보유한 고품질 재난 데이터의 민간·공공 AI 개발 참여를 확대하고, 현장 수요에 맞춘 실증과 제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장 인력의 기술 수용성과 공공 시스템의 안정적 도입 역시 해결과제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AI와 디지털 기술이 재난 상황의 예측과 대응 방식에 근본적 전환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현장 실무자 중심의 데이터 축적, 반복 실증,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