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무산”…강기정, 대통령 공약 이행 촉구 정청래 만나
정치권을 둘러싼 해묵은 공약 논란이 다시 정점을 찍었다.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유치에 실패한 광주광역시와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향해 공약 이행을 강하게 촉구했다. 지역 여론이 들끓는 가운데, 수년간 이어진 정책 유치전이 새 국면을 맞게 됐다.
22일 오전, 강기정 광주시장은 서울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면담을 갖고 “국가 AI 컴퓨팅센터의 광주 설립을 촉구한다”는 공식 입장문을 전달했다. 전날 삼성SDS 컨소시엄이 전라남도를 국가 공모 입지로 선정하며 광주는 응모 기회조차 얻지 못한 바 있다. 이에 시는 지역 각계 대표들과 비상회의까지 소집했으나, 결과적으로 광주시 차원의 문제 제기에 머무른 것으로 확인됐다.

강 시장은 입장문을 통해 “국가 AI 컴퓨팅센터의 광주 설립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에서 직접 약속한 핵심 공약”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삼성SDS와 긴밀히 논의했음에도 광주가 배제돼 시민들의 당혹감과 실망이 크다”고 밝혔다. 또한 “이 사안이 민주당 공약 이행의 바로미터이니 재고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AI 컴퓨팅센터 관련 언급을 삼갔다.
이에 따라 광주지역 국회의원들은 오전 자체 회의를 거쳐 공동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의원들은 유치 무산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전남의 컴퓨팅센터 유치를 인정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광주가 AI 시범도시로서 경쟁력을 가지도록 정부 차원의 컴퓨팅 자원 인프라 확충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편, 광주시 비상회의에서는 국가계약법 위반 가능성을 거론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일부 관계자는 “3회차 공모임에도 조건 변경과 단독 응찰에 따른 수의계약 형태로 끝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광주시가 같은 호남권인 전라남도와 유치 갈등을 공식화하는 데는 실익이 없을 것이란 점에서 적극적 이의 제기는 어렵다는 실무적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광주와 중앙정부, 여당, 더불어민주당 모두가 난감한 입장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유치전 패배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대선 공약 이행 여부와 관련 산업 정책 흐름에 다시 민감한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국회는 향후 광주 등 비수도권 지역의 AI 자원 불균형 문제 해소와 인프라 확충 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