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비상계엄 당일 프로포폴 투약 의혹”…전진숙, 식약처에 김건희 자료 제출 압박

박선호 기자
입력

비상계엄이 선포된 12월 3일, 김건희 여사가 서울 강남의 한 성형외과에서 약물을 투약받았다는 의혹에 정치권이 격렬히 맞붙었다. 1972년생 여성이 당시 병원에서 프로포폴을 처방받았다는 사실이 국회 보고로 드러나며 파장은 커지고 있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전진숙 의원이 "자료를 즉시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런데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3년간 투약 이력 등은 개인정보에 해당한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했다. 식약처가 공식 보고를 통해 "계엄 당일 서울 강남 성형외과에서 1972년생 여성이 프로포폴 1개를 처방받았다"고 밝히자, 논란은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전진숙 의원은 "계엄 당일 김건희 씨 행적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성형외과에서 어떤 약을 투약받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더 이상 개인정보의 영역이 아니다"라며, 관련 자료의 즉각 제출을 요구했다.

 

박주민 위원장도 힘을 보탰다. "생년월일만으로는 개인 특정이 안 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하며, "국회에서의 증언 감정 등에 관한 법률을 보면 자료 제출을 거부할 수 있는 사유는 매우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유경 처장은 "A 환자의 주민등록번호 일곱 자리나 3년간 투약 이력은 개인정보에 해당해 제출하기 어렵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개인정보 보호법과 국회 증언 감정법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검토하겠다"고 부연했다.

 

야당은 행적 확인의 당위성과 투명성을 내세우며 압박을 강화하는 반면, 정부 측은 개인정보 보호라는 법적 기준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향후 자료 제출 여부와 그 방식이 정국의 또 다른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국회는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김건희 여사 비상계엄일 행적 및 관련 의혹 해소에 나설 계획이다. 정치권의 공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진숙#김건희#식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