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캐나다산 수입품 관세 35%로 인상”…미국, 무역갈등에 보복 조치 강화
국제

“캐나다산 수입품 관세 35%로 인상”…미국, 무역갈등에 보복 조치 강화

장예원 기자
입력

현지시각 8월 1일, 미국(USA)이 캐나다(Canada)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35%로 전격 인상했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가 캐나다 정부의 무역 협상 비협조와 펜타닐 등 불법 마약의 유입 차단 미흡, 그리고 캐나다의 보복 관세 대응과 관련됐다고 공식 밝혔다. 이번 결정은 미-캐나다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 발표돼 양국 관계와 북미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예고하고 있다.

 

현지 시간 기준 8월 1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조치에서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 아래 캐나다산 주요 수입 품목에 관세율을 대폭 인상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캐나다가 미국의 마약 유입 차단 요청에 제대로 협력하지 않았고, 미국의 행정조치에 맞서 추가 관세 등 보복 대응을 한 점이 직접적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합성 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문제를 둘러싼 미-캐나다 간 불협화음이 표면화되는 양상이다.

미국, 캐나다 관세 35%로 인상…USMCA 적용 상품은 면제 유지
미국, 캐나다 관세 35%로 인상…USMCA 적용 상품은 면제 유지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규정에 포함된 상품군은 이번 관세 인상 대상에서 제외되며, 기존처럼 관세 면제 조치가 적용된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USMCA 면제 상품을 감안할 때 실효 관세율은 약 5%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관세율 자체가 높아진만큼 향후 실물경제에 미칠 충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에도 펜타닐 등 안보 위협 이슈를 들며 캐나다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갈등에 대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아직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협상은 계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시장에서는 양국 간 무역장벽이 높아질 경우 북미 공급망과 기업 경영, 소비자 물가 등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주요 외신들도 “미·캐나다 무역분쟁이 심화될 조짐”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USMCA의 적용 범위가 양국 갈등의 완충 역할을 할 가능성을 주시하는 가운데, 보복 관세가 양국 경제와 정치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앞으로 두 나라가 협상을 통해 갈등을 완화할 수 있을지,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캐나다#usm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