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10명 중 4명 위험 신호”…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급증세

조보라 기자
입력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이 10대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심화되고 있다. 최근 4년 간 전체 연령층 가운데 청소년의 과의존 위험군 비중이 가장 가파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기기 노출의 사회적·교육적 파장이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 만 10~19세 청소년의 42.6%가 과의존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확인돼,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 문제를 ‘디지털 환경 위기’의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2020년 35.8%에서 2024년 42.6%로 6.8%p 상승했다. 같은 기간 만 3~9세 유아동은 27.3%에서 25.9%로 오히려 1.4%p 하락했고, 20~59세 성인은 22.2%에서 소폭 증가한 22.4%를 기록했다. 60대 고령층은 16.8%에서 11.9%로 줄었다. 청소년에서만 위험군 확산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이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사용 조절 능력이 크게 저하돼 사회적, 학업적, 심리적 기능에 영향을 받는 집단을 말한다. 청소년은 정서적 미성숙과 자기제어력 발달 단계에 있어 기기의 과도한 사용이 학업 집중력 저하, 정서 발달 위축, 대인관계 단절, 신체 건강 악화 등 다양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특히 이번 통계는 기존 생활 패턴의 변화를 넘어 세대별 사회 적응력, 미래 노동력 구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로 미국, 유럽 등에서도 청소년층의 디지털 미디어 과다 노출 문제가 주요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일부 국가는 학교 내 스마트폰 제한, 부모 대상 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맞춤형 앱 사용 시간 통제 등 선제적 대책을 제도화하는 중이다. 국내에선 아직까지 실효성 있는 제도적 대응이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훈기 의원은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단순 생활습관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적 역량 약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며 근본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청소년 보호 종합대책과 정보소외 예방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는 세대) 특성에 맞춘 정밀한 개입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AI 기반 청소년 모니터링, 맞춤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법적 규제와 자율관리 병행 등 복합적 접근법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산업계는 이번 동향이 미래 인재 양성 구조 재정립과 직결될 수 있다며 제도적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훈기의원#청소년스마트폰#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