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요금도 물가지수에 포함 검토”…안형준 데이터처장, 소비자 체감 지수 개선 시사
물가 통계를 둘러싼 소비자·정치권의 문제 제기가 집중된 가운데, 안형준 국가데이터처장이 ‘전기차 충전요금’의 소비자물가지수 포함을 검토 중임을 처음으로 밝혔다.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나온 발언으로, 생활체감형 통계 개편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날 국감 질의에서 ‘소비자물가지수가 현실을 좇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안형준 처장은 전기차 충전요금 검토 사실을 직접 언급했다. 그는 “소비 패턴 변화를 빠르게, 시의성 있게 반영해 품목 변화를 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며 “OTT(동영상 스트리밍) 품목은 이미 조사에 포함했으며, 전기차 연료는 내년 개편 대상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가상자산 소비지표 개발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의에 대해선 “3년에 걸쳐 가상자산 관련 조사를 했지만 부정적 인식 등으로 신뢰성 부족 문제가 있다”며 “데이터의 신뢰도가 확보되지 않아 통계 공표가 어렵다”고 답했다.
정치권에서는 노인연령 기준 상향에 있어 국가데이터처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안 처장은 이에 “과거 65세와 현재 65세의 의미가 다르다”며 “65·70·75세 등 구분된 세분 통계를 제공해 사회적 논의가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가족 자살률 통계, 고용의 질 지표 구축 등 추가 통계 개발 과제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데이터 총괄기관으로서의 권한·법제 미비도 쟁점이 됐다. 안 처장은 “직제에는 데이터 총괄 조정 기능이 담겼으나, 현실적으로는 법적 권한이 없는 상태”라며 “데이터기본법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회는 현실 체감이 떨어지는 물가지수부터 난해한 가상자산 통계, 노인 기준 등 세대 갈등 요소까지 통계체계 개편을 둘러싼 현안 질의를 이어갔다. 정부는 사회 변화에 맞는 공식 통계 체계 정비와 데이터 법제화 과제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