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대북송금 불분명…도박 연관성 시사됐다”…박선원, 국정원 감사 결과 정면 제기
대북송금 의혹을 둘러싼 진실공방이 4일 서울에서 치열하게 펼쳐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국정감사 직후 더불어민주당 간사 박선원 의원이 국정원의 자체 감사 결과를 공유하며,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의 대북송금 경로와 용도가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김 전 회장과 이재명 대통령 간의 연관성을 두고 여야가 날선 주장을 펼치는 가운데 국정원은 도박 자금과의 연결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박선원 의원은 이날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북한에 돈을 전달했다고 했으나, 그 자금이 실제로 어디로 흘러갔는지 특정되지 않고, 도박과의 연관성이 드러났다는 점을 국정원이 언급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김 전 회장이 필리핀 카지노에서 거액의 게임을 벌였고 수십억 원에 달하는 채무까지 있었다"고 밝혀, 기존의 ‘경기도 스마트팜 건설사업’ 명목 송금 주장에 설득력을 떨어뜨렸다.

아울러 박 의원은 "국정원이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가까운 검찰 수사관을 감찰조사관으로 채용해, 김성태 회장과 이재명 대통령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조사했지만 관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시원 전 공직기강비서관이 이를 뒤집고 '수사에 박차를 가하라'고 압박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어디에도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였을 때 북측으로 자금이 넘어간 정황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거듭 밝혔다.
법원에서 김성태 전 회장이 "대남공작원 리호남을 필리핀에서 만났다"고 주장했으나, 당시 북한 정찰총국 책임자의 동남아 활동 사실이나, 리호남의 필리핀 입국 가능성 등 핵심 단서가 수사 과정에서 사실과 다르다는 점도 지적됐다.
박선원 의원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자료 삭제를 지시했다며 고발당한 사안에 대해 "어떠한 삭제 지시도 없었고, 삭제된 자료란 것도 사이버 문서 창고에 그대로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국정원이 왜곡·과장된 고발장으로 없는 범죄를 있는 듯 포장했다"며, 실제로 해당 자료가 특검에도 제출됐다고 설명했다.
현안이 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측 아들의 국정원 채용 외압 의혹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박 의원은 "2014년의 부정적 평가와 달리, 2016년엔 긍정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자료가 있었다"고 말했다.
내란·외환정보 수집과 계엄 시 국정원 역할과 관련해선, "국정원이 내란·외환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집하겠다고 밝혔다"며, 계엄 상황에서도 ‘합동수사본부’에 국정원은 수사관이 아닌 연락관만 파견하는 방향으로 역할을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정보위에서 국정원은 SK텔레콤 등 통신·금융 분야 해킹 사건의 배후로 북한 해킹그룹 ‘김수키’를 지목했다. 해외 공조를 통해 자료 유출 경로 4곳을 특정하고, 중국과의 접촉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과 통일부, 외교부 서버까지 해커가 침투했으나, 검찰청과 방첩사 등에도 침입 정황이 포착돼 차단 조치가 이뤄졌고 현재까지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회 정보위는 이날 국정원의 대북 및 안보 현안에 대한 조사와 해킹 공격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정치권은 대북송금 진상, 서해 사건 책임소재 등을 두고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논란의 여파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