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대규모 장애 발생”…국내 핵심 서비스까지 멈춰 산업 충격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대규모 장애가 발생하며 국내외 주요 IT·플랫폼 서비스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1위 클라우드 사업자의 핵심 인프라가 멈추면서 삼성월렛,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생성형 AI 플랫폼 퍼플렉시티 등 국내외 서비스 현장에도 충격이 전해졌다. 업계는 클라우드 인프라 집중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장애가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지시간 20일 오전 12시경 AWS의 미국 동부 1 리전(US-EAST-1)에서 대규모 서비스 장애가 감지됐다. 해당 리전은 전 세계 AWS 인프라 중에서도 트래픽과 서비스 고객이 가장 폭넓게 몰려 있어, 글로벌 ISP 및 스타트업 플랫폼까지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 AWS는 “US-EAST-1 리전의 일부 인스턴스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으며, “오전 2시 27분경부터 복구가 진행됐으나 62개 서비스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고 공식 밝혔다.

이번 장애로 생성형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는 오류 메시지와 함께 웹사이트 접속 및 문서 생성 기능이 모두 정지됐고,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는 “AWS 장애가 직접 원인”이라고 공식 언급했다. 이외에도 삼성월렛,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등 국내 대표 디지털 서비스 역시 작동 이상 및 사용자 접속 장애가 보고됐다. 다운디텍터 등 글로벌 IT 모니터링 사이트에는 수천 건의 오류가 실시간 보고되는 등 그 파급력이 즉각적으로 확인됐다.
AWS 리전 장애와 같은 인프라 리스크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산업계 전반의 의존성이 높아진 현실을 드러낸다. 주요 고객·서비스가 리전 하나에 집중될 경우, 장애 발생 시 단일 장애점(SPOF)으로 인한 대규모 연쇄 피해가 현실화될 수 있다. 특히 금융, 게임, 헬스케어, AI 플랫폼 등 전 산업 분야에 클라우드 도입이 확산된 한국에서 그 영향력은 더욱 파급적이다.
경쟁 클라우드 사업사들도 백업 리전 확보 및 서비스 이중화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실제로는 AWS US-EAST-1 리전 같은 글로벌 핵심 노드의 안정성에 업계 관심이 쏠려 있다.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요 시장에서도 동시다발적 서비스 오류 사례가 보고돼, 글로벌 IT 산업의 클라우드 집중 리스크가 부각됐다.
한편 국내에서는 클라우드 장애 시 기업 및 공공서비스의 실질적 피해 접수를 위한 제도 마련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아직 관련 법적 보상 체계나 장애 관리 규정은 글로벌 선진국 대비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일부에서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중 클라우드 전략 및 리전 분산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장애는 단순한 IT 이슈가 아니라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구조적 변수”라며, “서비스 이중화, 법·제도 보완 없이 클라우드 의존만 높아질 경우 국내 산업 DNA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AWS 장애 사례가 체감된 만큼, 인프라 관리와 산업 구조 혁신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