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비 오는 날, 광주의 실내 정원 속을 걷는다”…실내 명소로 누리는 우중 여행의 낭만
라이프

“비 오는 날, 광주의 실내 정원 속을 걷는다”…실내 명소로 누리는 우중 여행의 낭만

오승현 기자
입력

요즘 비 오는 광주 거리마다 우산을 든 사람들이 하나둘 늘었다. 궂은 날씨에도 일상을 즐기려는 움직임이 이어진다. 예전에는 흐리고 비가 오면 집에 머무는 게 당연한 일이었지만, 광주의 실내 명소들을 찾는 일이 새로운 일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흐리고 습한 여름날, 광주 도심은 오히려 특별한 감성을 선물한다. 가족 단위 방문객은 국립광주과학관에서 어린이와 함께 오감을 자극하는 체험을 나누고, 조용한 시간을 원하는 이들에게는 국립광주박물관이 제격이다. SNS에서 ‘비 오는 날 박물관 데이트’가 유행할 만큼, 실내 공간에서의 휴식이 더욱 사랑받고 있다.

사진 출처 = 포토코리아(한국관광공사) 펭귄마을
사진 출처 = 포토코리아(한국관광공사) 펭귄마을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광주 지역 관광객 흐름을 보면, 계절별로 비 오는 날 실내 전시관 및 테마파크 이용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마냥 피하기보다, 비를 즐기는 ‘우중(雨中)여행’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도시 감성 라이프”라 부른다. 김하늘(트렌드 분석가)은 “날씨에 구애받지 않으려는 현대인의 생활 태도가 도시에 새로운 문화를 만들고 있다”고 해석했다. 그만큼 실내외를 적절히 활용해 감각적으로 경험하려는 이들이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기자가 무등산 증심사 산책길을 걸어보니, 잔잔한 빗속에 울려 퍼지는 새소리와 숲 냄새가 한층 깊게 다가왔다. 비가 그친 펭귄마을에선 느리게 걷는 시민들이 골목마다 설치미술 앞에서 담소를 나누거나, 포토존에서 빗방울을 배경 삼아 사진을 남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비가 와도 산사와 골목은 그 나름의 운치가 있다”며 나들이를 즐기는 시민의 말처럼, 광주만의 우중 감성이 일상에 스며든다.

 

일상 반응도 긍정적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비에 젖은 도심 정원에서 차 한 잔을 마시는 시간이 소확행”이라거나, “백화점보다 박물관이나 과학관이 아이와 하루 보내기에 좋았다”는 후기가 이어진다. 휴심정처럼 초록이 가득한 실내 정원이 ‘도심 속 산책 장소’로 입소문을 타기도 했다.

 

이처럼 실내 위주의 여행 코스는 단순한 비상 대피처가 아니라, 빗방울 소리와 공간의 온기를 함께 누리는 삶의 방식으로 여겨진다. 광주의 우중 여행은 체험, 예술, 자연, 휴식이 어우러진 감성적 일탈이자, 익숙한 공간에서 또 다른 나를 만나는 시간이다. 작은 선택 하나로도 오늘 하루의 온도가 달라진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국립광주과학관#펭귄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