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강남 마약사건 공범, 캄보디아 대학생 살해 주범”…국정원, 국제 범죄 추적 강화

조수빈 기자
입력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20대 한국인 대학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국제 범죄에 대한 경계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22일, 이번 살해 사건의 주범이 2023년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발생한 마약 사건의 총책과 공범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수사 진척 상황을 보고하며, 국제 범죄 조직의 연루 정황과 함께 추적 현황을 상세히 전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박모 씨 사망 사건 발생 직후, 정보 역량을 총동원해 피살 사건 주범을 8일 만에 특정했으며 현지 추적 전담반을 이미 파견했다. 국정원은 "주범 행적과 연계 인물 자료를 현지에 지원하고 있으며, 캄보디아 수사기관과 긴밀한 공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보고했다. 해당 주범은 2023년 강남 학원가에서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이른바 ‘마약음료’ 범죄의 총책이자, 당시 캄보디아에서 검거된 리모 씨와의 공범 관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도 이 사안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 이후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국정원이 사망 사건 발생 3일 만에 정보를 입수, 신속 대응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강남 학원가 마약 사건은 필로폰이 섞인 음료를 ‘집중력 강화 음료’로 위장해 미성년자 13명에게 제공하고 금전을 갈취하려 한 대형 범죄로, 파문이 컸다.

 

국정원은 캄보디아 스캠(연애 빙자 사기) 범죄 실태와 한국인 연루 현황도 지적했다. 현지 방문 인원, 단지 인근 한식당 이용 현황 등을 종합, 범죄 가담 한국인이 약 1천에서 2천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현지 경찰이 6~7월 스캠 범죄자로 3천75명을 검거했으며, 이중 한국인은 57명이라고 밝혔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한국인 64명 역시 "대부분이 범죄 가담자로, 단순 피해자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제시했다.

 

캄보디아 내 스캠 범죄 단지는 프놈펜, 시아누크빌 등 50여 곳에 달하며, 종사자가 약 20만명으로 추정됐다. 국정원은 "비정부 무장단체가 장악한 지역까지 산재하고 있어 현지 당국 단속에 한계가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범죄 조직은 2023년 캄보디아 국내총생산의 절반, 125억 달러에 이르는 범죄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이 "발본색원 될 때까지, 국제범죄·마약·사이버 범죄 등 심각한 국제 범죄를 조직의 사활을 걸고 완전 해결하라"는 특별 지시를 내렸다고도 밝혔다. 국정원은 인력 보강을 통해 수사 역량을 대폭 강화했으며, 캄보디아와 동남아 각국, 프린스 그룹 제재국 등과 협력 체계를 확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또, 범죄 조직이 단속을 피해 인접 국가로 이동하는 움직임에 대비해 추가 공조를 추진 중인데, 귀국범의 재입국 등 관련 사례도 집중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정보위원회에서는 북한 열병식 관련 질의도 이어졌다. 국정원은 "김정은이 국제적 위상을 국내외에 과시하고, 제재 효과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진단했다.

 

일련의 국제 범죄 사건에 대해 국회는 정부와 정보기관의 긴밀한 공조와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국정원은 앞으로도 동남아 등지의 스캠 범죄 조직 추적과 국제 공조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원#이재명대통령#캄보디아스캠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