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양자컴퓨터 인프라 한미 손잡았다”…배경훈 장관, IBM·BNL과 첨단 협력 확대
정치

“양자컴퓨터 인프라 한미 손잡았다”…배경훈 장관, IBM·BNL과 첨단 협력 확대

이도윤 기자
입력

양자과학기술 주도권을 두고 한국과 미국의 주요 연구기관들이 손을 맞잡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 그리고 뉴욕 IBM 등 한미 양자산학연 연구진이 대형 공동 프로젝트와 인프라 구축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첨단 기술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22~23일(현지시간) 배경훈 장관이 미국 뉴욕을 방문해 한미 산학연 양자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방문에서 배 장관은 뉴욕 IBM 왓슨연구소를 찾아 IBM과의 양자과학기술 산업 육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에는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연구회, 4대 과학기술원이 공동 참여해 기반 조성에 힘을 보탰다.

이 협약을 통해 양측은 양자컴퓨터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연구개발 중심 R&D 센터 설립, 전문인력 양성 등 전방위 협력을 추진한다. 간담회 자리에는 제이 감베타 IBM 부사장, 김은아 코넬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해 양자기술의 미래 활용과 한미 공조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또한 배 장관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BNL)를 찾아 첨단 대형기초 인프라 ‘전자이온충돌기’(EIC) 시설을 둘러봤다. 만남에서는 인공지능(AI)과 양자 등 신기술 적용 확장, 나아가 신흥 AI·양자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초연구 협력 방안도 테이블에 올랐다. BNL은 에너지부 지원 5개 양자정보과학센터 중 하나로, 핵물리·소재과학 연구 인프라를 자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에너지부와 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이행약정(IA), 정부 간 협력의향서(SOI) 체결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협력이 구체화할 경우, 양국 기초과학 발전은 물론 산업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

 

배경훈 장관은 “2025년은 양자과학기술 100주년이자 UN이 지정한 ‘양자과학의 해’”라고 강조하며, “양자과학기술은 AI, 신약개발, 금융, 보안 등 전 산업 분야에 기존 질서를 뒤바꿀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치권과 과학기술계는 이번 협약을 글로벌 기술 경쟁 시대에 한미가 실질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기술·인재 교류를 확대하며, 양자컴퓨터 등 차세대 첨단기술 육성 정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배경훈#ibm#과기정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