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건희 연루 의혹 ‘집사 게이트’ 정조준”…민중기 특검, 공정거래위원회 압수수색 착수
정치

“김건희 연루 의혹 ‘집사 게이트’ 정조준”…민중기 특검, 공정거래위원회 압수수색 착수

김태훈 기자
입력

정치권에선 김건희 여사와 연루된 ‘집사 게이트’ 의혹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8월 11일 정부 세종청사 내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국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에 들어가면서, 여야 충돌과 향후 정국에 적잖은 파장이 예고된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언론 공지에서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받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압수수색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수사팀은 공정위 기업집단국에 검사와 수사관을 파견해 기업 투자 및 관련 공정위 조사자료 등 광범위한 자료를 확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련의 조치는 ‘집사 게이트’로 불리는 투자 의혹과 직결돼 있다. 핵심은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거론돼 온 김예성 씨가 설립에 관여한 IMS모빌리티가 2023년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 HS효성, 신한은행 등으로부터 총 184억 원의 자금을 유치한 정황이다. 압수수색 대상인 일부 투자사들은 투자 직전 또는 직후 공정위의 직접 조사를 받거나, 처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실제 카카오모빌리티는 30억 원을 IMS모빌리티에 투자하기 전, 공정위로부터 카카오T 플랫폼 배차 알고리즘 조작 혐의로 200억 원대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HS효성 역시 4개 계열사를 통해 35억 원을 투자한 뒤 계열사 신고 누락, 오너 일가 지분 차명보유 등 사안으로 공정위의 경고 처분을 받았다. 특검팀은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김예성 씨와 김건희 여사의 친분을 의식해 보험성 내지 대가성으로 자금을 제공했을 가능성”에 주목한다는 설명이다.

 

여야는 판이하게 다른 반응을 내놓고 있다. 야권에선 “권력형 로비와 불공정 거래 의혹의 단초”라며 특검 수사의 신속성과 확장성을 주문했다. 반면 여권 일각에선 “공정위의 행정조치와 민간 기업 투자를 특검이 무리하게 연계한다”는 신중론도 피력됐다. 전문가들은 “투자와 처분 사이 연관성이 밝혀질 경우, 향후 권력형 비리 주장과 함께 정국이 급격히 요동칠 것”이라고 분석한다.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김건희 여사와 측근 기업 간 자금 흐름 및 감독당국과의 관계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다. 정치권은 특검의 수사 결과를 놓고 또다시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민중기특검#공정거래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