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불편 개선 약속”…우영규 카카오 부사장, 국감서 업데이트 롤백 불가 입장
카카오톡 서비스 개편을 둘러싼 이용자 불만과 카카오의 대응을 놓고 정치권 질의가 이어졌다. 10월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의 롤백(구버전 복귀)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업데이트 이후 확 바뀐 사용자환경에 대한 불편 호소가 급증하면서, 국회가 대책을 요구한 데 따른 답변이다.
이날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카카오톡 업데이트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없나”라고 질의하자, 우 부사장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업데이트를 안 받은 이용자는 (이전 버전으로) 쓸 수 있지만, 애프터서비스(A/S)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용자 불편 사항을 잘 알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될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카카오는 실제로 올해 4분기 내에 친구탭 초기 화면을 친구 목록으로 환원하고,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 ‘소식’ 메뉴로 분리 제공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방안은 기존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된 “광고 수익 확보를 위해 롤백하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미성년자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맞춤형 광고 노출 논란도 도마에 올랐다. 우영규 부사장은 “14세 미만 미성년자에 대해 맞춤형 광고를 위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게 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5세 이상 이용자에 대해서는 비식별 정보만을 수집하며, 필요 시 개보위 권고에 따라 사전 동의를 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 과방위는 카카오톡의 서비스 변경과 개인정보 운영 방침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며, IT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촉구했다. 카카오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약속하며 논란 진화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앞으로 카카오의 후속 조치와 정책 준수 여부에 주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