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분기 누적 순익 3,751억 원”…카카오뱅크, 비이자수익 확대에 사상 최대 실적

김소연 기자
입력

카카오뱅크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이 3,751억 원으로 집계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5일 공시에 따르면 신사업 다각화와 플랫폼·수수료 수익 확대가 두드러졌다는 평가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7∼9월) 순이익이 1,114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1,242억 원) 대비 10.3% 감소했지만, 3분기 누적으론 전년 동기(3,556억 원)보다 5.5%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2조3,273억 원, 이자수익은 1조4,921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3.1% 감소했다. 대출 잔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시장금리 하락과 함께 순이자마진(NIM)이 1.81%로 전 분기 대비 0.11%포인트 하락하며 이자수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3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은 42조4,630억 원으로 1년 새 1조2,390억 원 늘었고, 신용대출은 17조9,650억 원으로 1조4,350억 원 증가했다.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 순익 3,751억 원…사상 최대 경신
카카오뱅크 3분기 누적 순익 3,751억 원…사상 최대 경신

특히 비이자수익 부문이 실적을 견인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수익은 8,352억 원으로 전년 동기(6,591억 원) 대비 26.7% 늘었다. 대출 비교·광고·투자 플랫폼 등 플랫폼 수익 성장에 힘입어 수수료·플랫폼 수익만 2,312억 원에 달했다. 영업수익에서 비이자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36%로 확대됐다.

 

3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 수는 2,624만 명, MAU(월간 활성 이용자)는 1,997만 명에 달했다. 수신 잔액은 65조7,000억 원, 여신 잔액은 45조2,000억 원으로 모두 증가세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비이자수익 다각화와 고객 기반 확장 전략이 기존 은행과 차별화를 이끌었다는 평이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플랫폼·수수료 사업 성장세가 앞으로 실적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금리 인하에 따른 NIM 하락세와 대출 포트폴리오 변화가 실적에 부담 요인으로 지목된다.

 

카카오뱅크는 “지속적인 고객 유입과 트래픽 증가를 기반으로 여·수신과 비이자사업을 다변화했고, 글로벌 진출과 AI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금융권에서는 금리 및 대출 동향, 비이자수익 확대 여부 등이 실적 흐름을 결정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뱅크#비이자수익#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