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 개입 있었나”…조태용, 특검 3차 소환서 비화폰 통신 전방위 조사
정치적 진실공방의 핵인 채상병 사건 수사 개입 논란이 순직해병특검을 중심으로 또 다시 본격화됐다.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13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세 번째 소환조사를 받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기록 회수’ 지시 의혹에 대한 수사가 한층 날카로워진 모양새다. 특검은 조 전 실장을 비롯해 당시 사건 관련 핵심 인사들의 비화폰 통화내역 등 새로운 증거를 확보해 조사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9분 특검에 출석한 조태용 전 실장은 채상병 사건 경찰 이첩 기록 회수 개입 의혹과 관련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에 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기록 회수를 직접 지시했나”라는 취재진 질문에는 즉답을 피하고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하는 데에 그쳤다. 이어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여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 등 구체적 사건 질의에 대해서도 침묵으로 일관하며 조사장으로 향했다.

특검팀은 앞서 두 차례에 걸쳐 각각 17시간, 12시간의 고강도 조사를 실시했고, 추가로 비화폰의 통신 내역을 면밀히 파악 중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채상병 사건 당시 2023년 7~8월 조 전 실장, 윤석열 전 대통령, 김건희 여사, 이종섭 전 장관이 사용한 비화폰 통화기록을 근거로 기록 회수 개입 및 대통령 지시 여부를 집중적으로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조태용 전 실장은 사건 당일인 2023년 8월 2일, 이종섭 전 장관과의 통화가 포착돼 기록 회수 관련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의 중심에 섰다. 특히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주재의 'VIP 격노' 회의까지 참석해 의문이 증폭됐다. 조 전 실장은 그간 국회 등지에서 “사건 관련 보고는 없었고 화낸 사실도 없다”고 밝혀왔으나, 지난달 특검 1차 조사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점을 처음으로 인정하며 진술에 변화를 보였다.
같은 날 오전, 채상병 사건 초동수사의 중심에 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해 표적수사 의혹을 받는 김동혁 전 국방부 검찰단장 역시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에 출석했다. 김 전 단장은 “‘윤 전 대통령의 지시로 박 대령을 수사했느냐’는 질문에 “수사는 제가 전적으로 결정했다. 모든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답했다. 이어 수사기록 회수 과정과 관련한 질문에도 “성실히 조사 받겠다”고 밝혔다.
특검은 김 전 단장이 박 대령을 집단항명수괴죄로 입건 및 사건 기록 회수 과정에서 불법 행위 유무와, 군 검찰단이 박 대령 구속영장에 허위 사실을 기재했는지 등을 중점 규명 중이다. 이날 오후에는 박 대령을 직접 수사·기소한 염보현 군검사까지 피의자로 조사 대상에 올랐다.
순직해병특검의 조사는 향후 대통령실 지휘체계 실체와 군 수사 독립의 한계, 권력의 사법개입 의혹 등으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 결과에 따라 대통령실, 군, 정치권 전반에까지 책임론과 논쟁이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검팀은 앞으로 소환과 자료 확보를 이어가며 성역 없는 수사로 진상을 명확히 밝힌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