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 앞두고 전국 테러경보 격상 검토”…김민석 총리, 철저 대응 주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테러 위협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됐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전국적 테러경보 격상을 시사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대응 강화가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된 제21차 국가테러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김민석 총리는 "행사가 임박한 시점에는 전국적인 테러 경보 격상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APEC 정상회의를 겨냥한 테러 가능성에 대비한 강력한 조치를 주문했다. 그는 "어떤 의도를 가진 당사자 주체의 입장에서 본다면 결국 목표는 꼭 행사장만을 겨냥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밝히며, 전국 단위의 치밀한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출입국 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요 다중이용시설, 국가 중요 시설 등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된다"고 당부했다. 각종 소요, 사건 사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도 힘써 줄 것을 관계 부처에 요구했다. 또한 "국내외 테러 정보 수집, 요인 현장 경호, 시설 안전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대응 체계를 단단하게 해야 한다"며, 국민 생활에 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대국민 소통 또한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APEC 정상회의 안전관리 주관기관인 대통령경호처가 경호안전 추진 계획을 보고했다. 대테러 관계기관들은 신종 테러에 대한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을 비롯해, 테러 대비태세 점검을 올해 하반기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회의에서는 '국가중요시설 대드론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지침'도 통과됐다. 이 지침은 대드론 관련 정의, 시스템 구축과 운영 근거, 교육·훈련 규정 등을 포함했다. 정부는 이미 2023년부터 국가중요시설에 드론 대응 장비와 시스템을 도입해왔으며, 앞으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주요 국제행사를 앞둔 시기적 특수성을 감안해 치안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크다. 또, 최근 몇 년간 주요 기관 및 인사에 대한 위협 사건이 이어진 만큼, 이번 조치가 국민 불안 해소와 더불어 국가안보 신뢰 제고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를 위한 빈틈없는 테러 대응과 예방을 다짐하며, 관계 부처 협력 아래 전국 단위 위기관리 강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