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일 임시공휴일, 정부 검토 없다”…연휴 확대 논란 이어져
10월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검토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연장된 연휴를 기대해 온 시민들과 내수 진작을 요구하는 산업계의 목소리, 조업·수출 차질을 우려하는 우려가 맞서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5일 “추석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은 현재 정부에서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연휴가 길어질수록 해외여행 수요가 늘고, 조업일수 감소로 수출과 생산에 타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다. 실제로 2024년 1월의 임시공휴일 시행 당시 내수 활성화 효과가 국내 관광·소비진작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당수 국민이 해외여행을 선택했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도 있다.

여론도 엇갈린다. 일부 시민들은 “연휴가 길어도 실제로 쉬는 사람은 한정적”이라거나 “병원이나 은행 등 필수 시설 운영에 혼란이 크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반면 장기간 재충전 기회를 기대하는 목소리, 내수 진작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남아 있다.
현재 10월 3일 개천절부터 이어지는 주말과 추석, 대체휴일, 한글날까지 7일간의 연휴가 확정된 상황에서, 10일 금요일까지 임시공휴일이 지정될 경우 최장 10일간 쉴 수 있게 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추석 연휴와 관련한 내수 진작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며 기대로 이어졌지만, 정부는 8월 중순 기준 관련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지 않는 입장이다.
임시공휴일은 국무회의 의결과 대통령 재가를 거쳐 확정되며, 최소 2주 이상의 사전 고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결정이 이뤄지려면 9월 말까지 시간이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사회 각계에서는 찬반 논쟁과 행정적 판단의 기로가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민 불편 및 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신중히 판단하겠다”고 밝혔으며, 이번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는 앞으로 남은 시간 동안 사회적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논의는 단순한 휴일 지정 그 이상의, 국내 내수구조와 일·생활 균형 시스템에 대한 공론장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