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88% 중도 이탈"...서영석, 윤석열 정부 의사과학자 지원사업 붕괴 경고
의정 갈등이 의료계 연구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의과 전공의 대상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에 참여했던 전공의 10명 중 9명가량이 중도에 연구를 포기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추진 이후 집단 사직 사태와 맞물려, 사업 운영이 사실상 중단됐다는 지적이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전공의 연구지원사업’에 참여한 89명 중 78명(88%)이 연구를 그만두었다. 복지부는 이 사업을 통해 임상 외 분야 연구 역량을 키우고자 석·박사 및 통합과정에 진학한 전공의에게 1인당 연간 2천만원의 국고보조금과 1천만원의 기관부담금을 지원해왔다. 지원금은 최소 1년, 최대 2년간 연구비·장학금·인건비로 활용 가능하다.

문제는 지난해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내세운 뒤로 대다수 전공의가 병원을 떠나면서, 연구지원사업 전공의들도 프로젝트 지속이 불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서영석 의원실 관계자는 “사실상 전공의 의사과학자 사업이 멈춰 섰다”고 평가했다.
전일제 박사과정에 대한 지원사업도 심각한 위축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운영해온 해당 사업 수료자 77명 중 실제 연구 인력으로 남은 비율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임상과 연구를 병행 중인 인력이 47%에 머물렀고, 연구 전담 인력은 44%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창업, 인턴 수련, 군 복무, 진로 준비 등 기타 진출이 6명에 달했다.
이처럼 대학원생과 임상·연구 인력 중에서 상당수가 제도 변화와 정부 정책에 따라 중도 이탈하거나 지원을 중단하는 현실은, 의사과학자 생태계를 빠르게 위축시키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서영석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의사과학자 양성을 국가적 과제로 삼으면서도 무리한 의대 증원 정책으로 연구 생태계의 기반까지 흔들었다”며, “신약 개발과 의료 인공지능, 진단 기술 혁신을 이끌 전문인력의 싹을 정부가 직접 잘라낸 셈”이라고 비판했다.
국회와 의료계 일각에서는 연구환경 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향후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의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