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스코 장인화 회장, 밴 플리트상 수상”…한미 경제협력 확대 공로 인정

임태훈 기자
입력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코리아소사이어티 연례 만찬에서 ‘2025 밴 플리트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한미 간 경제협력을 이끈 경영 전략과 현지 산업 생태계 구축 노력이 국제적 평가를 받은 것으로, 기업의 해외 투자와 공급망 강화 움직임에 촉진제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밴 플리트상은 한미 상호 이해 및 우호 증진에 기여한 인사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1992년 창설된 이후 양국 경제·사회 협력에 상징성을 지닌 상이다. 포스코 장 회장은 철강, 이차전지소재, 에너지 등 핵심 분야에서 대미 투자 확대 및 협력 확대를 이끌며 미국과의 경제 관계 심화에 기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출처=포스코
출처=포스코

캐슬린 스티븐스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은 “장인화 회장이 미국 산업 생태계 재건과 공급망 안정화는 물론, 양국의 지속적 유대 강화에도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4월 현대자동차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합작 투자 MOU를 체결하는 한편, 유타주에서는 국내 최초로 리튬직접추출(DLE) 기술 실증사업도 추진하는 등 북미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북미산 LNG 장기 구매 계약 등 에너지 협력 확장도 병행하며 대미 사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장인화 회장은 수상 연설에서 “포항제철소 건설 시기 미국 철강산업이 큰 영감을 줬으며, 1972년 대미 수출과 1994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경험은 포스코의 세계화에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 활용 첨단 제조 혁신 등 미국과 손잡고 산업 르네상스 동반 성장에 나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포스코그룹의 추가 대미 투자와 공급망 협력이 국내 산업계에도 자극을 줄 수 있다고 해석했다. 정부도 주요 기업의 해외 파트너십 사례를 확산시켜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미국 내 산업 정책 강화와 맞물려 국내 기업의 현지 진출 사례가 더욱 늘어날지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포스코그룹#장인화#밴플리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