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순방마다 여당 발언 자제”…정청래·김병기, 외교 성과 뒷받침 방침
대통령 해외 순방을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이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과 아프리카·중동 순방 일정에 맞춰 지금까지 이어온 강경 기조를 잠시 멈추고 주요 이슈에 대한 발언을 자제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최근 이 대통령이 해외 일정을 소화할 때마다 당내에서 논란이 커지며 외교 성과까지 가려졌다는 비판이 제기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사법 등 논란을 일으킬만한 현안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정청래 대표는 “이 대통령의 외교 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길 바라며 민주당도 성공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김병기 원내대표 역시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돼 좋은 성과가 있길 기원한다”고 기존 강경 메시지 대신 현안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부 지도부가 내란 전담 재판부 도입을 주장하기도 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해당 발언은 법원의 신속한 재판을 촉구하는 의미일 뿐, 당 차원의 공식 논의는 아니다”(박수현 수석대변인)라며 선을 그었다. 이는 최근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등과 관련한 내부 ‘집단 항명’ 공세에서 잠시 물러선 모양새다. 민주당은 최근 검사 징계 강화를 당론화하고, 평검사 강등 요구 등 강수를 지속해왔다.
법관 전관예우 차단, 법관 징계 강화 등 사법개혁 의제도 한동안 논의가 이어졌으나, 이번 순방 기간만큼은 집권 여당으로서 외교 성과를 지원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9월 유엔총회에 참석했던 시기에도 민주당 법사위원들이 ‘조희대 대선 개입 의혹’ 청문회 강행으로 잡음이 일었던 점, 아세안 정상회의 순방 때는 대통령 재판중지법 재추진 목소리가 불거졌다는 점이 배경에 깔려 있다.
여권 일각에선 “정청래 대표가 여당 대표로서 대통령을 뒷받침하기보다 자기 정치에 집중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도 이번 순방 기간만큼은 새로운 논란을 키우기보다 현상 유지를 택할 가능성이 힘을 얻는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고위전략회의 후 “대통령님이 (순방) 나갈 때마다 이상한 얘기가 나와서 성과가 묻힌 경우가 앞으로는 없을 것”이라며 기조 변화를 시사했다.
현안 중 하나인 대장동 항소 포기 국정조사와 관련해서도 민주당은 “여야 합의 처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박수현 수석대변인)며, 최대한 협상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이날 국회는 대통령 순방을 계기로 여야 모두가 주요 이슈에 대한 발언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향후 순방 결과와 맞물려 정국의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현안에 대해 여야 협의를 계속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