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여순사건 연구 실적 0건”…김문수, 3대 역사기관 외면 지적

강민혁 기자
입력

정치적 무관심과 연구 부재가 맞붙었다. 국내 3대 역사기관이 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 연구에 사실상 손을 놓으면서, 관련 사안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됐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전남 순천 광양 곡성 구례 갑) 의원이 15일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북아역사재단이 최근 10년 간 여순사건 관련 학술연구 또는 보고서를 하나도 발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문수 의원은 이날 “국내 주요 역사기관이 여순사건 연구에 사실상 손을 놓았다”며 “여순사건법이 이미 제정됐음에도 ‘반란’ 등 왜곡된 표현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세 기관 모두 학술연구와 공식 보고서는 없었고, 학술회의를 통한 발표조차 단 한 건에 그쳤다.

학계와 정치권 반응 역시 엇갈렸다. 김문수 의원은 “3대 역사기관이 여순사건을 연구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해당 기관들은 부실한 연구 결과에 대한 문제 의식을 새롭게 인식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일부 전문가들은 “공식 기억이 빈자리인 여순사건에 대한 국가적 책임 있는 연구 추진이 절실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이번 발표를 계기로 여순사건을 둘러싼 역사 해석 논쟁과 국가적 연구 소홀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정치권 일각에선 “역사 왜곡 가능성을 방치해선 안 된다”며 정부와 국회 차원의 연구 활성화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국회는 향후 관련 상임위원회 논의와 후속 대책 점검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문수#여순사건#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