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암고 출신 해경 간부 소환”…내란특검, 안성식 전 기획조정관 계엄 혐의 수사
내란 부화수행 혐의 수사가 핵심 정치 쟁점으로 부상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5일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하면서 해경의 계엄 가담 논란이 정국의 도마 위에 올랐다. 화상회의 발언과 인력 파견 지시 등 구체적 행위가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정치권 긴장감도 한층 높아지는 분위기다.
조은석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안 전 조정관을 내란 부화수행 혐의 관련 피의자로 불러 조사를 진행했다. 안 전 조정관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전국 지휘관 화상회의에서 “합동수사본부 구성 시 해경 인력 파견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계엄 사범을 대비해 유치장 정비를 지시했다는 진술도 조사 대상이다. 특검팀은 안 전 조정관이 계엄 선포 전부터 국군방첩사령부 측과 긴밀히 교류하며 해경이 계엄 선포 시 합수부에 자동 편제될 수 있도록 ‘계엄사령부 편성 계획’ 변경에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첩사령부는 지난해 초 관련 규정을 개정했으며, 실제 계엄 당시 해경은 보안과와 정보과 등 22명을 합수부에 파견하는 방안을 추진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안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등과 같은 충암고 출신으로, 2022년 3월 해경 출신 최초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된 경력이 있다.
특검팀은 수개월간 안 전 조정관과 해경 관련자, 방첩사 주요 인사 조사를 계속해 왔다. 8월에는 안 전 조정관의 관사와 자택, 해경 본청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으며, 지난달에는 해경 보안과에 대해 2차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이와 같은 강도 높은 수사는 계엄 연루 의혹에 대한 전방위적 진상 규명 의지를 보여준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의 이번 행보를 놓고 내란 수사에 있어 정교한 증거 확보와 책임 소재 규명이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각에선 충암고 인맥이 권력기구 결정 구조에 끼친 영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공존한다.
특검팀은 추가 관련자 소환과 증거 확보를 이어가며 계엄 연루 실체 규명에 주력할 방침이다. 법조계와 정치권 모두 내란특검의 수사 결과가 향후 정국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