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응급의료 공백 직접 메운다”…박단, 울릉도 의료현장 복귀 눈길

박다해 기자
입력

의료정책 변화와 전문 인력 부족이 지역의 의료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최근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을 비판하며 수련을 중단했던 박단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울릉군 보건의료원 응급실로 복귀했다. 박 전 위원장은 2024년 10월부터 병원 현장 업무에 들어가며, 이 과정은 현행 의료 인력 수급 체계와 대도시-지역 간 의료격차 문제를 입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 소식을 ‘지역 응급의료 인력 확보 경쟁의 분기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박단 전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그간 의정 갈등의 중심에 있던 인물로, 의료계 강경파로 분류됐다.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반발로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수련을 중단한 후 “현장으로 돌아갈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공언했으나, 이번에 울릉도라는 도서 지역 응급실 근무를 선택했다. 이 결정은 특히 정원 미달, 인력 쏠림, 전공의 사직 등으로 의료현장 곳곳에서 발생하는 공백의 실태를 재조명한다.

기술적으로 울릉군 보건의료원은 원격의료 지원, 클라우드 기반 환자 기록시스템 등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해 의료 현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사례로도 분석된다. 박 전 위원장이 합류한 응급실 역시 지역 인프라 제약 속 전문의 부족을 디지털 솔루션과 연계, 최소화하고 있다. 기존 메이저 병원의 다인력 체계와는 달리, 도서 지역 보건의료원은 1~2명의 전문 인력에 의존하며, 비대면 위험 환자 중증도 분류 시스템 등 IT기반 응급의료지원의 실효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일례로 올해 하반기 박 전 위원장은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레지던트에 지원했으나 정원 미달에도 불구하고 최종 진입하지 못했다. 이는 응급의료 전문의 지원자 감소, 특정 병원·지역 쏠림에 따른 수급 불균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미국·일본 등 선진국 역시 의료진 고령화, 원격 진료 활성화, 지역 의료 붕괴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IT와 인센티브 정책을 병행 중이다.

 

박 전 위원장의 행보는 국내 의료 인력 정책, 지역 응급의료 해소 전략, 전공의 조직의 대표성 등 주요 현안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을 다시 촉발하고 있다. 최근 각종 정책 변화와 더불어 식약처, 복지부 등도 지역병원 응급의료 인력 지원 사업을 확대 중이지만 현장의 만성적인 인력난 해소에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전문가들은 “실제 의료현장에서 경력과 역량을 갖춘 인력이 도서·벽지로 이동하는 것은 현 시스템의 심각성을 잘 보여준다”며 “현장 중심의 정책 설계와 지역 의료 IT 인프라 확대가 병행돼야 공백 해소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의료계 인력 재배치 흐름이 실질적으로 시장과 환자 중심의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박단#울릉군보건의료원#전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