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의사인력 수급추계 본격화”…복지부, 위원회 15명 위촉 산업계 영향 주목
IT/바이오

“의사인력 수급추계 본격화”…복지부, 위원회 15명 위촉 산업계 영향 주목

김태훈 기자
입력

의사 인력의 중장기 수급 체계를 과학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보건복지부는 5월 31일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문가 15명을 위원으로 위촉, 6월 초 1차 회의를 예고했다. 이번 위원회는 보건의료 공급자·수요자 단체, 학회·연구기관 등 21개 관련 단체와 기관 추천을 통해 선정됐으며, 회의록과 논의안건을 모두 공개해야 하는 독립적 심의 기구다. 업계는 신규 위원회 출범을 ‘의료 인력 정책 전환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위원회는 공급자 단체(8명), 수요자 단체(4명), 학회·연구기관(3명) 등으로 구성됐다. 관련 법령에 따라 공급자 단체 추천 위원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위원장은 추후 호선 방식으로 선출된다. 이번 조직의 목적은 장기적인 의사 인력 수급 추계 모델과 예측 방법, 변수 설정 등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객관적 논의를 주도하는 데 있다.

특히 향후 회의에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IT 기반 수급 예측 모델 도입 방안 및 변수 정교화 논의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기존 수급 추계 방식과 달리, 다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의료계와 데이터 과학계 협업의 필요성도 커졌다.

 

중장기 수급 모형은 2027년 이후 의과대학 정원 결정, 의사 인력정책 설계, 의료 접근성 보장 등 보건의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산업계와 의료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인구구조 변화와 만성질환 관리 확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성장 등 환경 변화에 따라 수급 추계의 정확성과 정책 실행력이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선진국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보건의료 인력 수급 시스템을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해 정기적 예측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도 의료체계 변복, 인력 수급 불균형 등 구조적 한계를 개선하려면 과학적이고 투명성이 확보된 논의와 시스템 정비가 필수라는 요구가 높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의사 인력 수급 추계는 향후 의대 정원과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될 중요한 작업”이라며, “수급추계위원회가 과학적이고 투명하게 운영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위원회가 실제 산업 현장 변화에 맞춰 유연한 수급 모델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 결과가 보건의료 인력구조 개편의 기점이 될지 주의 깊게 살피고 있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건복지부#의사인력수급추계위원회#정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