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건진법사와 통일교 청탁 공모”…특검, 구속영장에 정치 브로커 개입 적시
김건희 여사와 정치 브로커 전성배씨를 둘러싼 통일교 청탁 의혹이 또 한 번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최근 김건희 여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건진법사’ 전성배씨와의 공모 사실을 적시, 여권과 야권 모두 격렬한 공방에 나서고 있다.
8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의 구속영장에는 신분이 ‘정치 브로커’로 분류된 전성배씨와 김 여사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고가의 물품을 받는 과정에서 공모했다는 주요 혐의가 명시됐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백 등 고가 물품을 둘러싼 수수 의혹, 통일교 사업 관련 청탁 문제, 그리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 등이다.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에게 자본시장법 위반(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관여), 정치자금법 위반(명태균 공천개입 관련),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건진법사·통일교 청탁 의혹) 등 복수의 혐의를 적용했다. 최근 압수수색 과정에서 드러난 청탁 내역에는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사업 지원, YTN 인수 등 통일교 측의 구체적 요구가 담겼으나, 구속영장에는 대가관계가 직접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건희 여사는 지난 6일 실시된 특검 조사에서 “통일교 관련 물품을 전혀 받은 사실이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성배씨 역시 “목걸이와 샤넬백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이에 따라 실제 물품 전달 여부가 수사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특검은 김 여사와 전씨, 통일교 측 윤모씨 사이의 통화 내역 등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양측의 공모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또한 특검은 2009~2012년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 여사가 단순 방조자가 아니라 ‘전주’로서 시세조종 공모에 직접 가담했다고 보고 있다.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번 사안 외에도 불법 여론조사 수수 의혹, 명태균씨의 공천개입 사건 등 추가 고발 건으로 사법 리스크에 직면했다. 특검에 따르면 김 여사의 불법 여론조사 제공 횟수는 50여회로 집계됐다.
한편, 윤모씨는 지난 4월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과 영부인 직위 상실 직후 김건희 여사가 휴대전화를 교체한 점, 잦은 입원 등 수사 비협조 상황을 들어 ‘증거 인멸 우려’가 크다고 밝혀 구속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치권은 즉각 격돌했다. 야권은 구속영장에 적시된 ‘공모’ 표현과 증거 인멸 정황을 집중 추궁하며 추가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여권은 ‘혐의는 모두 부인되고 있고, 실질적 물증은 아직 부족하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신중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향배가 여론과 추가 수사 결과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특검팀은 대선 당시 통일교 측이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 등 ‘윤핵관’에게 자금 및 선거 지원 의사를 전달했다고도 밝히며, 윗선 개입 가능성을 언급했다. 구속된 윤모씨 역시 ‘한학자 통일교 총재 등 최고위 간부진의 결재를 받아 2021년부터 권 의원 등에게 자금을 건네왔다’고 진술한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는 이번 특검 수사와 김건희 여사 혐의에 대한 공방을 이어가면서, 정국은 다시 거센 격랑에 휩싸였다. 정당별 해석 차이가 뚜렷한 가운데, 추가 물증 확보와 법원의 영장실질심사 여부가 향후 수사ㆍ정치적 파급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