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6년 방관·책임론 격돌”…웅동학원 사회환원 두고 국감서 정면 충돌

장서준 기자
입력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일가가 운영한 학교법인 웅동학원을 둘러싸고 책임 공방이 재점화됐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경남도교육청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웅동학원의 사회 환원 지연과 부채 처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여야 의원과 박종훈 경남교육감 사이에 첨예한 책임론이 오가면서 국정감사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은 “6년 전 사회 환원 발표 이후 이행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박종훈 경남교육감을 강하게 질타했다. 서 의원은 “교육감은 왜 6년 동안 그것을 방관했느냐”고 몰아붙였고, 웅동학원 채무 변제 실적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웅동학원의 부채 91억원 중 6년간 변제된 것은 1억원뿐”이라며 “해산 명령 등 강경 조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종훈 경남교육감은 “방관했다는 지적은 억울하다”며 “자산관리공사-법인-교육청 3자 협의체를 구성했고, 부채 해소 방안을 마련해 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서 의원은 “너무 늦었다. 1년 전에도 지적됐던 사안”이라며 오히려 실질적 행동이 미흡했다고 재차 비판했다.

 

정치권 반응도 극명하게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명예로운 퇴장보다, 정치교육감이 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박종훈 교육감을 감쌌고,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은 “9월 5일 조 위원장 모친 사임으로 가족이 학원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며 사회적 약속 이행이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토지 매각 등 현실적 어려움을 언급하며 “경남교육청 지원”을 요청했고, 박 교육감 역시 “이자 탕감 등 채무 해소를 두고 관계 기관과 노력 중”이라 답했다.

 

이 과정에서 서지영 의원은 “이자 탕감까지 운운하는 것은 국민을 분노하게 할 뿐”이라며 다시 한 번 공직 책임론을 부각했다. 이어 “웅동학원은 사학 족벌경영 부패의 완결판인데 해산 등 실질조치가 필요하다”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는 웅동학원 사회 환원·부채 처리 과정, 그리고 교육감 책임이나 제도적 한계 등을 둘러싼 정면 충돌로 이어졌다. 정치권은 사립학교 개혁과 사회적 책무 실현을 강조하며 후속 대책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장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지영#웅동학원#박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