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융합 실증 연구기지 어디로”…정부, 첨단 인프라 부지 공모 착수
핵융합에너지 연구의 상용화가 IT·바이오 융합산업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정부가 핵융합 첨단 연구인프라 구축을 위한 부지 선정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한국연구재단에서 '핵융합 첨단 연구인프라 부지 유치 공모' 사업설명회를 열고, 내달 13일까지 유치 신청을 공식 접수한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영국, 중국 등 주요국이 핵융합에너지의 실용화 경쟁을 본격화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은 향후 국내 핵융합 상용화 기술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핵융합 상용화에 필수적인 핵심기술 개발과 실증을 위한 연구단지 인프라 조성을 목표로 한다.
핵융합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생성 원리로, 청정하면서도 대용량 전력 생산이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로 꼽힌다. 기존 원자력발전과 달리 방사성 폐기물 걱정이 적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미래 산업과 에너지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업계와 연구계는 평가한다.
과기정통부가 기획 중인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은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절차에 있다. 이번 부지 선정은 예타 신청의 전제조건으로,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1개 집적단지 부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절차는 사업설명회 개최 이후, 실무 현장조사, 부지유치계획 평가 및 발표로 이어진다. 선정평가위원회는 부지의 입지적 타당성, 연구활용 가능성, 지역 인프라 연계성 등을 엄밀히 평가할 계획이다.
북미와 유럽 등도 핵융합 연구 거점 확보에 나선 가운데, 국내 핵융합 연구가 한 단계 도약하려면 이 같은 대규모 실증단지 구축이 필수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집적연구단지 조성으로 핵심기술의 실증과 글로벌 협력이 촉진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이번 부지 선정 결과를 토대로 올 12월 예비타당성조사가 이뤄지고, 2027년부터 본격적 사업 착수가 예정돼 있다. 다만, 예비타당성조사 결과에 따라 최종 사업 규모와 일정은 달라질 수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대형 국가연구단지 추진이 지역균형발전, 연구자 집적화 등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핵융합 실현의 핵심은 전체 시스템 구축과 실증 기반 확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세계 핵융합 시장에서 우리 기술 주도권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와 학계는 이번 인프라 구축이 국산 핵융합 상용화 기술의 실제 적용과 산업 생태계 형성에 얼마나 기여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의 상용화와 제도적 지원이 맞물려 실제 산업 전환으로 이어질지 지켜볼 필요가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