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진술 거부 398회 반복”…임성근, 순직 해병 수사 특검 조사 전면 불응
정치

“진술 거부 398회 반복”…임성근, 순직 해병 수사 특검 조사 전면 불응

한유빈 기자
입력

진술 거부권 행사를 두고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과 이명현 순직해병특별검사팀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2023년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순직한 채수근 상병 사건의 수사 과정에서 임성근 전 사단장이 2·3차 특검 조사에서 398차례나 진술을 거부한 사실이 알려지며 진상 규명에 난항이 예상된다.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8월 7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이명현 특검팀에 출석해 400건 가까운 질문에 “진술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해당 조사에서는 수색 작전 지시 및 사고 경위 허위 보고 의혹 등 핵심 사안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수색 작전 관련 질문뿐 아니라 현장 차량 이용 등 기본 사실관계에도 모두 답변을 회피했다. 임 전 사단장은 “진술 거부하겠다” 또는 “진술하지 않겠다”는 말을 각각 244회, 154회 반복했고, 실제 562개 질문 가운데 대부분을 넘겼다.

이 과정에서 과거 경찰 조사 진술 내용과의 불일치 지적이 제기됐다. 검찰은 “예하 부대가 현장에서 받아들이기엔 사실상 구속력이 있는 지시”라고 강조했으나, 임 전 사단장은 “인정하지 않는다”고 맞섰다. 이어 “어떤 점을 인정하지 않느냐”는 질의에도 답변을 거부했다.

 

특별검사팀은 휴대전화 비밀번호 미제공 등 비협조 태도까지 조명했다. 검사는 “핵심 물증의 포렌식 절차를 고의적으로 방해하고 있어 상당히 불량하다”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이에 임 전 사단장 측은 “검사가 피의자 진술을 위축시키고, 비밀번호 제공을 법적으로 의무 없는 사안임에도 사실상 강요했다”고 반박했다. 양측 입장 차는 깊게 드러났다.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이 진술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당사자 추가 조사보다는 수색 작전 참가 지휘관 등 관계자를 중심으로 추가 조사를 이어가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입증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임성근 전 사단장은 지난 11일 출석 당시 “그동안 조사와 청문회에서 수천 번 진술했고, 이제 진실은 수사기관이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병대 수사단 초기부터 혐의자로 특정됐다가, 이른바 ‘VIP 격노’ 후 제외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여 의혹까지 불거졌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검팀과 임 전 사단장 측의 법적·정치적 공방이 심화됨에 따라 순직 해병 진상 규명이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회에서는 이번 특검 조사 결과와 후속 진상 규명 대책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임성근#이명현특검#채상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