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문서 700종, 네이버가 이끈다”…공공기관 디지털화 촉진
전자문서 플랫폼 확장이 공공 및 민간 전반에 걸쳐 국가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네이버는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증을 획득한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국방부, 국세청, 성평등가족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의 전자문서 700여 종을 안정적으로 발송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업계는 네이버의 이 같은 행보를 ‘디지털 행정 고지’ 체계 전환의 분기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네이버는 안전성과 보안성을 인정받아 주요 공공기관의 핵심 고지 채널로 자리매김했다. 이용자는 네이버 앱을 통해 전자문서 수신, 인증, 신분증 확인, 납부 등 복합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종이로 발송되던 안내문, 고지서, 통지서 역시 전자고지서 형태로 대체해, 발송 기관과 협력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사용자의 접근성 향상이 핵심이다. 네이버는 지난 7월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중 최초로 PC와 모바일 환경 모두에서 건강보험 서식 350종을 제공하고, 텍스트-음성 변환(TTS) 기능을 도입해 고령층·시각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의 편의성도 강화했다. 이와 관련, 디지털서비스혁신에 기여한 성과로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시장성과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네이버는 경기도청과 MOU를 체결, 1,500만 경기도민 대상으로 ‘기후행동 기회소득’ 정책 파트너로 공식 지정됐다. 내년부터 네이버 전자문서 이용 실적이 기후행동 기회소득 인정 기준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네이버 전자문서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공공 정책 인프라로 도약할 가능성도 언급된다.
국내외 디지털 행정 고지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주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역시 전자문서 플랫폼 사업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이버는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금융기관 협력을 늘리며 국내 시장 우위를 굳히는 모습이다.
전자문서의 제도적 기반 역시 강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네이버 등 기술기업과 협력해 인증 체계 고도화, 데이터 보호 대책을 마련 중이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접근성·신뢰성 등 제도 문제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황보영 네이버 리더는 “협업 기관과 발송문서의 종류를 더욱 확대하고 신뢰받는 전자문서 서비스 고도화로 ESG, 탄소 감축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 도입 이후 지난해까지 4억9400만장의 종이 사용이 절감돼 탄소 감축에 긍정적 효과가 확인된다. 산업계는 네이버의 전자문서 플랫폼이 공공 정책과 민간 인프라를 동시에 혁신하는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