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의사 없다”…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민주당 압박 속 거취 논란 확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둘러싼 정치권의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10월 16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가보훈부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김형석 관장에 대한 사퇴 압박을 쏟아냈고, 김 관장은 이를 정면 돌파하며 자진 사퇴 의사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형석 관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인물로, 역사관과 근무 태도 등 다양한 공방에 중심에 섰다.
이날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장직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느냐”고 질의하자, 김 관장은 “사퇴할 생각이 없다”고 단호하게 답했다. 이어 “국민들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저를 비롯한 구성원 모두가 독립정신을 지키고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기관의 책임과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국정감사장은 사퇴 압박과 각종 의혹이 집중 제기되며 긴장감이 높았다. 민주당 김용만 의원(백범 김구 선생의 증손)은 “관장이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선대 국적이 일본이라 하고, 광복이 연합국 승리의 선물이라고 주장한다”며 “독립기념관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다. 자격을 상실했다”고 맹비난했다. 김현정 의원 역시 “시설을 ROTC 동기회 등 단체에 내주는 사유화, 근무태만 사실이 확인됐고 친일 성향 역사관도 문제”라며 보훈부에 조속한 대응을 주문했다.
민주당은 김 관장이 왜곡된 역사관을 가진 뉴라이트 학자라며 꾸준히 사퇴를 요구해왔다. 이에 보훈부는 “관장에게 제기된 의혹에 대해 특정감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법 개정을 추진해 보훈부 장관이 관장 해임을 건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부연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김형석 관장 자진 사퇴 촉구, 보훈부 감사 및 법 개정 논의가 맞물리면서 독립기념관의 운영과 역사교육 방향을 둘러싼 논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는 의혹 해소와 책임 소재 규명을 놓고 심도 있는 검증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