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경기 성장 둔화”…중국 10월 PMI 소폭 하락, 내수·고용 제약에 부각
현지시각 5일, 중국(China) 민간 조사기관 루이팅거우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글로벌(S&P글로벌)이 공동으로 발표한 10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6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수치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전망치(52.5)에는 부합했으나, 확장 국면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성장 탄력이 다소 둔화된 모습이다. 전월은 52.9였다.
10월 서비스업 PMI 하락은 지난달 연휴를 전후로 소비와 여행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일시적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서비스업 기업활동지수는 50.2를 기록, 9월(50.1)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명확한 성장 전환 신호는 감지되지 않았다.

특히 루이팅거우 PMI는 국가통계국 발표치와 달리 중소기업, 민간 및 수출 지향 기업의 체감 경기 변화를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영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중국 전반 경기상황을 반영하는 10월 종합 PMI 역시 51.8로 전달(52.5) 대비 하락했다. 제조업 PMI 역시 수출 둔화 영향으로 50.6까지 떨어져, 경기 확장세가 전방위적 압력을 받고 있는 분위기다.
루이팅거우의 창업자 야오위(Yao Wei)는 “지속된 고용 축소와 수익성 악화가 서비스업 확장의 가장 큰 제약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부동산 침체, 내수 부진, 무역 불확실성 확대 등 구조적 리스크도 당분간 중국 경기에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최근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경제 5개년 계획에서 제조업 혁신과 기술 자립, 내수 소비 활성화를 강조했다. 유동성 공급이나 감세 확대 등 추가 경기부양 카드에 대한 시장 기대도 커지고 있다.
로이터,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중국 내수 회복의 불안정성과 글로벌 수요 부진이 지속될 경우 경기부양책 확대가 불가피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의 정책 방향과 실질적 내수 진작 효과에 국제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추가 부양책이 실제 경기반등을 이끌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