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저수지 10곳 중 1곳 농업용수 부적합”…어기구, 수질 관리체계 개선 촉구

오예린 기자
입력

농업 현장과 식수 안보를 둘러싼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은 전국 저수지와 담수호의 농업용수 수질 실태를 지적하며 노후 기반시설 정비와 오염원 관리체계 강화를 촉구했다. 16일 어기구 의원이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출받은 ‘2025년 상반기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1천53개 저수지·담수호 중 98곳(9.3%)의 수질이 5등급(나쁨) 내지 6등급(매우 나쁨)으로 평가돼 농업용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상태로 드러났다.

 

지역별로 볼 때 전남은 부적합 저수지가 27곳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24곳, 경북 19곳, 전북 10곳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충남 지역은 전체 121개 저수지·담수호 중 19.8%가 부적합 등급에 해당해, 전국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당진 석문호와 태안 이원호, 미포·도내·인평저수지, 서산 중왕저수지 등 6곳은 최하등급인 6등급 판정을 받았다.

어기구 의원은 "농업용수는 단순한 물이 아니라 작물 생산의 기초이자 식량안보의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노후한 저수지 정비와 수질 개선 사업 확대, 오염원 차단을 위한 관리체계 강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과 전문가들은 농업용수 악화의 원인으로 노후화된 저수지 시설, 인근 공장과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 비효율적인 관리 인력을 꼽는다. 그러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예산 제약, 개선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등에서 의견차도 감지된다. 일부 민간단체는 물 부족까지 현실화될 경우 농산물 생산과 가격 변동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국회에서는 충남을 비롯한 농촌 지역 수질 관리 대책의 시급성과 식량안보 차원 접근 필요성이 제기됐다. 정부는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내년 예산 편성에서 저수지 정비 및 오염차단 지원 방안을 집중 검토할 방침이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어기구#저수지#농업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