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코스피 3,200선 약보합”…외국인, SK하이닉스·두산에너빌리티 집중 매수에도 관망 확산
경제

“코스피 3,200선 약보합”…외국인, SK하이닉스·두산에너빌리티 집중 매수에도 관망 확산

강예은 기자
입력

11일 코스피가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미·중 ‘관세 휴전’ 만료를 앞둔 경계심 속에 3,200선에서 약보합세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IT, 2차전지, 친환경 등 성장주에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졌으나 투자심리는 대외 불확실성에 한 발 물러선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단기 변동성 확대와 정책 변수에 시선이 쏠린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는 전일 대비 3.24포인트(0.10%) 하락한 3,206.77로 거래를 마쳤다. 같은 시간 코스닥은 2.58포인트(0.32%) 오른 811.85로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장 초반 미국 기술주 강세 영향으로 코스피가 오름세를 탔으나, 오후 들어 투자자들의 신중 모드가 확산되며 상승 폭을 반납했다.

[표]투자자별 매매동향
[표]투자자별 매매동향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202억원 순매수에 나서며 지수 하락폭을 제한했다. 특히 SK하이닉스(1,589억원), 두산에너빌리티(1,424억원), 카카오(510억원) 등이 외인 매수 상위를 기록했다. 성장 모멘텀 보유 업종에 매수가 집중됐으며, SK하이닉스는 4.09% 급등해 26만원대를 회복했다. 이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황 개선과 미 빅테크 기업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해석된다. 두산에너빌리티 역시 친환경 프로젝트 확대 기대가 반영돼 4.52% 상승했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2,160억원, 1,406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2차전지, 친환경주 일부를 매수했으나 네이버, 삼성전자, 한화오션 등 대형주에선 매도를 단행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서는 2,114억원 상당의 매도 포지션에 나섰다. 지난 한 달간(7월 9일~8월 11일) 외국인은 총 5조 9,853억원 순매수로 시장의 주도권을 유지했다.

 

대형주 그룹 중 삼성전자는 1,445억원 순매도가 집계되며 1.11% 하락했다. 한화오션은 9.09% 급락했고, 조선주 전반에 하락 압력이 가해졌다. 이는 미·중 관세 갈등과 해운·조선 경기 둔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LG이노텍(3.45%), 비에이치(2.94%), 삼성바이오로직스(0.98%) 등은 애플 부품주 및 바이오 업종 중심으로 강세를 이어갔다.

 

2차전지주는 중국 CATL의 리튬광산 생산 일시 중단 소식에 공급 과잉 해소 기대가 반영돼 LG에너지솔루션(2.77%), 포스코홀딩스(3.72%) 등이 상승했다. 에코프로비엠(7.98%), 에코프로(4.81%) 등 코스닥 대표 2차전지주도 호조를 보였다. 엔터테인먼트 업종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가 11.91%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찍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은 10조 3,220억원, 코스닥은 5조 2,800억원을 기록했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는 7조 330억원 규모였다.  

시장에서는 미국 CPI 발표와 미·중 관세 협상 결과 등 대외 변수와 14일 세제 개편안 입법 예고 시한을 앞두고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향후 글로벌 경제지표와 주요 정책 일정에 따라 증시 방향성에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되는 분위기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하이닉스#두산에너빌리티#코스피